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소음인위수한이한병론(少陰人胃受寒裡寒病論)에 기술되어 있다.
장궐증은 상한병(傷寒病) 말기에 증세가 음증(陰症)이 되어 맥(脈)은 약하고 수족이 차며, 따라서 몸도 차지고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면서 설사하는 증세로, 양(陽)이 부족하고 음(陰)이 왕성하여 치료하기 어려운 증세이다.
음성격양증은 음이 성하여 양의 작용을 막아버린 것으로 환자의 몸이 차고, 맥이 빠르며, 번조(煩躁)가 있으면서 물을 마시지 못하는 증세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소음인이 비위(脾胃)의 기운이 부족한 까닭에 이음(裡陰)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여 생기는 증상들이므로 건비강음(健脾降陰)시킴으로써 치료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응용하는 것이 이 처방이다.
구성은 인삼(人蔘)·백출(白朮)·건강포(乾薑炮)·관계(官桂) 각 7.5g, 백작약(白芍藥)·진피(陳皮)·감초구(甘草灸)·오수유·소회향(小茴香)·보골지(補骨紙) 각 3.75g, 부자포(附子炮) 3.75∼7.5g으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은 관계부자이중탕(官桂附子理中湯)에 오수유·소회향·파고지(破古紙)를 가미한 처방인데, 관계부자탕은 이중탕(理中湯)에 침한고랭(沈寒凅冷: 찬 기운이 속에 오래 머물러 있는 증)을 물리치는 육계(肉桂), 12경락(十二經絡)을 통행시키며 축사거랭(逐邪去冷)하는 부자(附子), 통체순기(通滯順氣)하는 백작약·진피를 첨가한 것이다.
여기에 통관해독(通關解毒)하는 회향, 고정보간(固精補肝: 신기를 든든하게 하여 유정을 멎게 하고 간을 보함)하는 파고지, 소간하기(疏肝下氣: 간기가 울결된 것을 흩어지게 하여 내림)시키는 오수유를 가한 것이 오수유부자이중탕인데, 이 추가된 세 약물은 모두 간(肝)과 신(腎)의 작용을 돕는 것으로, 이 처방은 궐음독(厥陰毒)을 풀기 위해서 힘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관계부자이중탕은 태음(太陰)과 소음경의 음독증을 치료하는 데 주력한 반면, 이 처방은 궐음(厥陰)과 소음경(少陰經)의 음독증에 치중한 처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