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류산장시화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문헌
이가원이 한국의 시화(詩話)에 관해 서술한 시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이가원이 한국의 시화(詩話)에 관해 서술한 시화집.
내용

A4판 118면. 1972년 을유문화사에서 발행하였다.

『옥류산장시화』는 한국의 시화를 시대구분 없이 서언(緖言), 본론 1(고조선 공후인∼조선 중기), 본론 2(조선 후기), 결어(結語)로 서술하였다. 이가원의 서(序)와 채무송(蔡茂松)의 발(跋)을 덧붙였다. 서언에서는 옛 사람들이 시화를 짓게 된 유래를 설명하였다.

『옥류산장시화』 이전에 이가원이 지었던 『여한시화(麗韓詩話)』 · 『귤우선관시화(橘雨僊館詩話)』 · 『육륙초당시화(六六草堂詩話)』 등을 소개하였다. ‘옥류산장’은 예전의 시화집 이름에서도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이 시화를 지을 당시에 저자가 거처하였던 서재의 이름이다.

조선시대에 지어진 수십 가지의 시화를 품평하면서 시화와 시사(詩史)의 차이를 논하기도 하였다. 저자가 이 책을 지으면서 가장 신빙성 있게 인용한 자료는 허균(許筠)『학산초담(鶴山樵談)』『성수시화(惺叟詩話)』이다.

『옥류산장시화』은 예전 시화의 원문을 많이 인용하고 중국 · 일본의 학자들에게 한국문학을 소개하기 위하여 한문으로 지었다. 허경진(許敬震)에 의하여 한글로 번역되어 1980년 6월 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A5판 1,215면으로 다시 발행되었다. 1984년 ‘역대한국한시시화(歷代韓國漢詩詩話)’라는 책명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옥류산장시화』 한문본에서는 체재나 분류가 없었다. 한글본에서는 174제(題) 아래 787칙(則)의 시화가 시대순 시인본위로 분류되었다. 예전에 지어졌던 시화들에서는 출전을 밝히지도 않고 인용한 부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책에 와서는 그러한 출전들이 분명하게 밝혀졌다. 그러면서도 그러한 인용에 이가원 자신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화를 짓기도 하였다.

『옥류산장시화』의 특징은 1934년에 지은 하겸진(河謙鎭)『동시화(東詩話)』 이후에 지어진 최후의 시화집이다. 따라서 다른 시화에서 다룰 수 없었던 신채호(申采浩) · 유인식(柳寅植) · 정태진(丁泰鎭) · 변영만(卞榮晩) · 안중근(安重根) · 정인보(鄭寅普) 등 최근세 시인들까지 모두 소개되었다는 점이다.

『옥류산장시화』의 결어부분에서는 통시적으로 다룰 수 없었던 시화 자체에 대한 품평 및 비판 · 증정(證正) 등이 실렸다. 그리고 이규보(李奎報) · 정약용(丁若鏞) · 이제현(李齊賢) · 김시습(金時習) 등의 시론이 소개되었다.

선배들이 역대 시인들에 대하여 품평한 것들도 다시 비판하였다. 시참(詩讖) · 용사(用事) · 집구(集句) · 음운(音韻) · 문자(文字)의 병폐와 허실(虛實) 등에 대하여도 논하였다.

『옥류산장시화』는 현대적인 저술방법에 의한 논저가 아니기에 한문학사(漢文學史)와는 관점이 다르다. 그러나 근대화과정에서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 위항문학(委巷文學)에 대한 서술이 소략하다는 점이 비판되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