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갖것

목차
관련 정보
역대한국문법대계 / 온갓것
역대한국문법대계 / 온갓것
언어·문자
문헌
개항기의 국어학자 이규영((1890~1920)이 1910년대 초의 국어연구에 관한 사실들을 수록한 비망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개항기의 국어학자 이규영((1890~1920)이 1910년대 초의 국어연구에 관한 사실들을 수록한 비망록.
내용

인찰지(印札紙) 81장의 동장본(東裝本). 본문 첫 장에 나와 있는 저자명은 “이 환빛 검돌”인데, 검돌은 이규영의 호이다.

이 책은 산만하나마 1910년대초의 국어연구에 관한 희귀한 사실이 많이 담겨 있다. 그 내용은 금강뫼[金剛山] 탐험노래, 우리글 창제 기념가, 우리말 씨몯음의 갈래(씨난틀), 듬난, 짬듬, 씨몯음 여러 듬, 우리말 생각하는 노래, 각종 방언, 사람의 일홈 짓는 듬 등이다.

특히, 「우리글 창제 기념가」는 제5절에 “국문창제기념식(國文創製紀念式) 거행(擧行)해보세.”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한글날’에 관한 가장 오래된 언급으로 보인다.

품사분류표인 「씨난틀」은 당시 주시경(周時經)의 주재하에 편찬되던 국어사전 『말모이』의 특이한 문법표시이며,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유일한 기록이다. 그리고 구문도해(構文圖解)인 「듬난」, 「짬듬」 등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다른 제3의 체계로서 새로운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사람의 일홈 짓는 듬」에서는 고유한 인명에 쓰이는 요소들, 가령 돌(차돌)·바위(덤바위)·짝지(쇠짝지)·서기(돌서기) 등은 사내 이름이고, 쑤기(새쑤기)·쥐(금쥐)·예(마을예)·실(탄실)·단(곱단) 등은 계집 이름으로 들었다.

참고문헌

『온갖것』(검돌, 『역대한국문법대계』제1부 ;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탑출판사, 1985)
「말모이편찬(編纂)에 대하여」(김민수, 『동양학』1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3)
「이규영(李奎榮)의 문법연구(文法硏究)」(김민수, 『한국학보』19,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민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