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가(登歌)에서 연주된다. 이 진찬곡은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되었던 보태평·정대업이 1463년(세조 9)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됨에 따라 영신·전폐·진찬·철변두·송신 등 제례절차에 필요한 악곡과 가사를 새로 지을 때 지어졌다.
즉, 현행 보태평 11곡과 정대업 11곡에 포함되지 않는 진찬곡을 새로 지어 진찬례에는 풍안지악(豊安之樂), 철변두례에는 옹안지악, 송신례에는 흥안지악(興安之樂) 이라는 이름을 붙여 사용하였다.
음계는 황(黃)·태(太)·고(姑)·중(仲)·임(林)·남(南)·응(應)의 7음으로 되어 있고, 주음인 황종으로 시작하여 황종으로 끝난다. 악장은 4자가 1구를 이루어 중국식 아악과 같으나 4자씩 8구가 아닌 6구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