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트 (yacht)

목차
관련 정보
요트 / 서울아시아경기대회
요트 / 서울아시아경기대회
체육
개념
해상에서 소형의 경주용 돛단배를 이용하여 빨리 달리는 수상경기.
목차
정의
해상에서 소형의 경주용 돛단배를 이용하여 빨리 달리는 수상경기.
내용

바다에서 실시하는 경기이므로 바람의 상황에 따른 정확한 판단과 요트를 다루는 기술이 요구되는 경기이며, 넓은 바다를 달리는 상쾌함과 속도감 때문에 최근에는 레크리에이션 스포츠로서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요트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달리는 세일링 요트(sailing yacht)와 기계의 힘으로 달리는 모터 요트(motor yacht)의 두 종류가 있으나, 경기에서는 세일링 요트만 인정된다.

세일링 요트는 다시 크루저(crusier)와 레이서(racer)로 구분되는데, 크루저는 대양(大洋) 항해용이고, 레이서는 통상적인 의미의 경주용이다.

올림픽을 비롯한 세계요트선수권대회는 레이서에 의한 경기이며, 1일 1레이스를 7일간 실시하여 7레이스 중 가장 득점이 나쁜 1레이스를 제외한 6레이스의 합계로 승패를 정한다.

각 레이스의 득점은 1착이 0점, 2착이 3점, 3착이 5. 7점, 4착이 8점, 5착이 10점 등이며, 팀 레이스(team race)는 1착이 3·4점, 2착이 2점, 3착이 3점이 된다. 요트는 바람을 마주하였을 때 40° 정도를 벗어나야 나아갈 수 있으므로 똑바로 가기 위해서는 지그재그로 침로(針路)를 택해야 한다.

또한, 기술적으로는 바람에 적합한 돛과 마스트를 달아야 하며 조작 잘못을 범하지 말고 항상 최고의 속도로 달릴 수 있도록 경기장의 자연조건과 요트의 특징을 잘 익혀두어야 한다.

요트는 네덜란드의 ‘사냥한다’, ‘쫓는다’라는 뜻의 야겐(yagen)으로부터 나온 말이다. 이를 보면 요트의 역사는 인간이 배에 돛을 달고 군사나 교역을 목적으로 항해를 시작한 고대사회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서기전 3400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집트의 벽화에는 당시의 요트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요트는 1660년 영국의 찰스 2세 즉위 때 네덜란드에서 2척의 수렵선을 선물한 것이 시초이며, 요트경기는 1661년 9월 영국의 찰스 2세가 그의 동생 요크공과 더불어 템스강의 그리니치에서 그레이브센트까지 37㎞코스에서 ‘100파운드 상금레이스’를 행한 것이 시초이다.

그 뒤 유럽의 상류층에 요트가 전파되었고, 1720년경에는 워터클럽오브하버(Water Club of Harbour)·로열코크요트클럽(Royal Coke Yacht Club) 등이 창립되었다.

본격적인 경주용 요트가 건조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이며, 1875년에는 영국요트협회(Royal Yachting Association)가 창립되었고, 이어 1907년에는 국제요트경기연맹(International Yacht Racing Union)이 조직되었다.

국제경기로는 아메리카컵레이스를 비롯하여 세계선수권대회·골든레이스·국제요트선수권대회·애드미럴컵대회 등이 해마다 열리고 있다.

우리나라에 요트가 소개된 것은 최근의 일이나, 올림픽 종목인 관계로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준비와 더불어 급격히 발전하였다. 1979년 3월에 대한요트협회가 결성되었으며 매년 전국요트선수권대회를 개최하여 요트인구의 저변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의 회원은 약 2,000명이다.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에서 5종목에 걸쳐 12개국 72명의 선수가 겨룬 결과 우리나라가 금메달 2개(레이저급: 朴吉哲, 옵티머스트딩기급: 朴鍾羽),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중국과 일본을 누르고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바 있다.

1983년부터 부산 수영만에 요트경기장을 건설,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 때부터 사용하고 있다. 1990년 베이징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고, 1994년 히로시마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성적이 부진하였으나 근래에는 경기력이 향상되고 있으며 1998년 방콕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금메달 6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여 아시아 정상에 진입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참고문헌

『대한요트협회 경기규칙』(대한요트협회,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찬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