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알뜨기 (알뜨기)

목차
민속·인류
개념
정월의 첫 용날이나 대보름날 첫닭이 울 때 부녀자들이 앞다투어 정화수를 길어 오던 세시풍속. 노용란 · 노용자.
이칭
이칭
노용란(撈龍卵), 노용자(撈龍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정월의 첫 용날이나 대보름날 첫닭이 울 때 부녀자들이 앞다투어 정화수를 길어 오던 세시풍속. 노용란 · 노용자.
내용

한자어로는 ‘노용란(撈龍卵)’이라고 한다. 용날 또는 대보름날 새벽 부녀자들은 그 전날 밤에 하늘에서 내려온 용이 알을 낳은 우물에서 남보다 먼저 정화수를 길어 밥을 지어먹으면 그해 농사가 잘된다고 믿고 남 먼저 우물물을 길으려고 한다.

이를 ‘용의 알을 건진다(撈龍卵).’라고 하는데, 물을 먼저 길어간 사람은 우물에 짚 약간을 띄워 먼저 길어갔음을 표하였다. 『동국세시기』에는 이러한 풍속이 황해도와 평안도지방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에는 이 물 한 그릇 긷는 것을 ‘노용자(撈龍子)’라고 하고 있다.

참고문헌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韓國)의 세시풍속(歲時風俗)』(최상수, 고려서적, 196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