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용주사 삼장보살도 ( )

목차
관련 정보
화성 용주사 삼장보살도
화성 용주사 삼장보살도
회화
작품
문화재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송산동) 용주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이칭
이칭
화성 용주사삼장보살탱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2009년 06월 24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용주사)
목차
정의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송산동) 용주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1791년(정조 15) 화사(畵師) 민관(旻官), 돈평(頓平), 각인(覺仁) 등 8인의 비구가 함께 제작하여 용주사에 봉안한 삼장보살도이다.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고, 크기는 세로 174.5㎝, 가로 319.5㎝이다. 2009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삼장보살(三藏菩薩) 즉 천장보살(天藏菩薩)과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중심으로 한 법회를 묘사한 그림이다. 인물의 형태라든지 구도·필선·색채 등에서 도식화되고 형식화된 18세기 말의 불화 양식을 잘 보여 주고 있는 작품이다.

화면에는 인물들을 가득 배치하여 거의 여유 없는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삼장보살이라든지 주요 협시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변화 없고 일률적인 구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천장·지장·지지보살의 위치와 크기는 현격히 줄어들었다. 반면에 협시보살을 비롯한 그 밖의 권속들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어 구도에서 다소 이완된 면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인물들의 형태는 약간 위축되고 수척해졌다.

신체는 대체로 세장(細長)한 편이며, 경직되고 도식화된 모습이 크게 대두되었다. 특히, 일부 인물들은 얼굴에 비하여 신체가 유난히 짧아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점은 필선에서도 잘 나타나 선이 딱딱하고 경직되었다. 느슨한 필선으로 처리한 인물들은 당당하지 못하고 좀 위축된 느낌이 든다. 시왕이나 협시·권속들의 옷주름 같은 곳에서는 형식화된 면이 특히 두드러져 보인다.

색채 또한 이 불화의 시대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녹색과 붉은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짙고 탁하게 칠해서 선명도는 극히 낮은 편이다. 따라서 이 불화는 이완된 구도, 형식화된 인물들의 모습과 옷주름 선, 색채 등에서 19세기의 형식화되고 도식화되는 불화의 양식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는 작품이라고 보여진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용주사 본말사편(상)(성보문화재연구원, 2003)
『한국의 미 16 -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불화의 연구』(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조선시대 삼장보살도의 도상 연구」(탁현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조선후기 삼장보살도와 수륙재의식집」(이용윤, 『미술자료』 72·73, 2005)
「이조불화의 연구」(김영주,『고문화』8,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7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