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Uganda)

우간다의 국기
우간다의 국기
외교
지명/국가
아프리카 동부에 있는 공화국.
이칭
이칭
우간다 공화국, Republic of Uganda
정의
아프리카 동부에 있는 공화국.
개관

정식 명칭은 우간다 공화국(Republic of Uganda)이며, 전 국토의 4분의 1이 호수다. 면적은 24만 1038㎢, 인구 3710만 1745명(2015년 현재)이며, 수도는 캄팔라(Kampala)이다. 행정구역은 69개 주로 되어 있다. 종족 구성은 바간다족(Baganda) 16.9%, 바소가족(Basoga) 8.4%, 이태소족(Iteso) 6.4% 등 34개 부족이 있다.

언어는 영어가 공용어이나, 우간다어·스와힐리어 등 토착어도 사용하고 있다. 종교는 가톨릭교 41.9%, 개신교 42, 이슬람교 12.%, 그리고 토착신앙이 공존하고 있다.

국토의 대부분은 1000~1200m의 고원지대로 적도 직하에 위치하여 연교차는 거의 없다.

2015년도 국민총생산은 270억 달러이고, 1인당 국민소득은 715달러이다.

정부 형태는 대통령 중심제의 공화제로서, 의회는 임기 5년의 단원제(332석)이다. 주요 정당으로는 집권국민저항운동당(NRM), 보수당(CP), 민주당(DP) 등이 있다.

약사

우간다는 14, 15세기경 오늘날의 국민을 이루고 있는 부족들이 이주해왔고, 19세기에 아랍대상, 유럽의 탐험가 및 선교사들이 도래하였으며, 1890년 영국·독일 간 베를린조약에 의하여 영국 식민지가 되었다.

이후 영국의 통치를 받아오다 1952년 이그나티우스 무사지(Ignatius Musazi)가 범국민적인 우간다국민의회(UNC)를 창설하였으나, 1956년의 민주당(DP) 창당, 1960년 오보테의 우간다인민의회(UPC) 창당으로 우간다국민의회가 분열되었다.

1961년 9월 영국 런던에서 헌법제정의회를 개최하고 내각책임제 헌법을 채택하여 첫 총선을 실시한 결과 민주당이 승리하였다. 1962년 4월 야당지도자인 오보테가 총선에서 승리하여 연립정부 수상으로 취임하였고, 6월에 독립의회를 개원하여 연방제 헌법을 채택하고 1962년 10월 9일 독립을 선언하였다.

1966년 5월 이디 아민(Idi Amin)이 쿠데타를 일으키자 오보테가 연방제를 폐지하고 중앙집권제 헌법을 채택하여 대통령에 취임하였으나, 1971년 1월 이디 아민이 군사쿠데타로 집권함으로써 오보테 대통령은 탄자니아로 망명하였다.

오보테 등 반 이디 아민 세력인 우간다국민해방전선(UNLF)은 탄자니아군의 지원하에 1979년 4월 정부군을 물리치고 캄팔라에 입성하여 이디 아민정부를 붕괴시켰다.

이후 룰레(Lule) 및 비나이사(Binaisa) 과도정권을 거쳐 1980년 12월 오보테가 총선에 의하여 다시 대통령에 취임하였으며, 1986년 1월 무세베니(Museveni,Y.) 대통령이 취임하였고, 2006년 2월 3선에 성공하여 정부를 이끌고 있다.

우간다의 대외정책은 중도중립의 비동맹중립노선을 표방하고 있으며, 1962년 유엔에, 1964년 비동맹회의에 가입하여 케냐·탄자니아·수단·자이르 등 인접국과의 우호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아프리카문제에 있어서는 민족해방노선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다.

특히, 이디 아민정권 타도 때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준 탄자니아와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부족 간의 대립이 심하여 양민학살사건 등 인권문제가 국제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우간다 독립과 함께 승인을 부여하여 1963년 3월 26일에 외교관계를 수립하였고, 4월에 주 우간다 대사관을 캄팔라에 개설하였으나 2008년 현재 주 케냐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1983년 12월에 재 우간다한인회가 발족하였고, 1986년 11월 우간다와 의료협력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91년 12월에는 대외협력기금 공여각서를 교환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대 우간다 수출액은 2015년 현재 2,015만 달러로 주종목은 전자제품·자동차·기계류 등이며, 수입액은 1,344만 달러로 주종목은 커피·어류·코발트 등이다.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는 34명의 선수단이 참가하였으며, 2015년 현재 현대건설이 진출해 있고, 400여 명의 한국교민이 있다.

한편, 북한은 1963년 3월에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가 1964년 1월에 단교하였으며, 1972년 8월 2일 국교를 재개하고 12월 캄팔라에 상주공관을 두었으나, 1994년 10월 폐쇄하고 주 르완다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양측은 1973년 10월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81년 12월에는 경제과학기술 협정과 문화 협정, 1988년 12월에는 군사기술 및 훈련 협정, 1998년 9월에는 농업시험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2008년 3월에는 교육협조에 관한 합의서를 교환한 바 있다.

참고문헌

『세계각국편람』(외교통상부, 2008)
『한국의 창』(동아일보사, 2008)
『해외동포현황』(외교통상부, 2007)
『세계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2007)
『주요수출입통계』(관세청, 2007)
『제3세계론』(신정현, 일신사, 1986)
『아프리카 아프리카』(최평규 편, 국풍, 1983)
『아프리카정치론』(하경근, 일조각,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현희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