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

목차
자연지리
지명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명동에 속하는 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명동에 속하는 섬.
내용

진해 동남쪽 0.5㎞ 지점에 있다. 동경 128°44′, 북위 35°05′에 위치하며, 면적 0.10㎢, 해안선길이 2.8㎞, 인구 159명, 69세대(2017년)이다.

하나의 작은 구릉(최고높이 55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동남부의 일부 암석해안을 제외하면 사빈해안으로 되어 있고, 연안의 수심은 2m 이내이다. 1월평균기온 1.5℃, 8월평균기온 26℃, 연강수량 1,462㎜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경지면적은 논은 없으나 밭 3.8㏊, 임야 0.6㏊이다. 경지율이 50%이다.

주요재배작물은 마늘·양파·고추이고, 연안에서는 소형어선에 의한 바지락·해삼잡이가 활발하며 피조개·홍합의 양식업도 성하다. 취락은 사빈해안이 발달한 서북해안에 입지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분교 1개교가 있다. 정기여객선은 없으나 도선으로 육지로 연결된다.

본래 이 섬은 독버섯이 많이 자생하고 있다고 하여 ‘벗섬’이라 불렸으나, 일제강점기에 한자식으로 잘못 기재되어 ‘우도’로 표기하게 되었다 한다. 2012년 5월에 음지도와 우도를 잇는 연도 보도교가 완공되어 우도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도서지』(내무부, 1985)
디지털 창원문화대전(changwon.grandculture.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