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인물
가야의 가실왕 때 「하가라도」, 「상가라도」, 「보기」 등 12곡을 지었고, 진흥왕 12년(551)에 신라에 망명한 가야의 음악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목차
정의
가야의 가실왕 때 「하가라도」, 「상가라도」, 「보기」 등 12곡을 지었고, 진흥왕 12년(551)에 신라에 망명한 가야의 음악인.
내용

생몰연대 미상. 가야국 성열현(省熱縣)에서 살았다고 한다. 우륵의 나라 가야는 6가야 중에서 대가야로 추정한다. 그 이유는 551년 이후 562년에 멸망한 가야가 대가야이기 때문이다.

한때 가실왕이 우륵에게 이르기를, “모든 나라의 방언도 각각 서로 다른데, 성음(聲音)이 어찌 하나일 수 있겠는가?”라고 하며 가얏고를 위해 악곡을 지으라고 하여 12곡을 지었다고 한다.

그 뒤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가얏고를 들고 제자 이문(泥文)과 함께 신라 진흥왕에게 투항하였는데, 왕은 그를 맞아 국원(國原 : 지금의 충주)에 안치시키고 계고(階古)·만덕(萬德)·법지(法知) 등을 보내어 그의 업(業)을 전습하게 하였다.

우륵은 이 세 사람의 재주를 헤아려 계고에게는 가얏고, 법지에게는 노래, 만덕에게는 춤을 각각 가르쳤다. 그 후 이들은 우륵이 만든 12곡을 듣고는 “이 곡들은 번잡하고 음란하여 우아하고 바르지 못하다.” 고 하며 5곡으로 줄여 버렸다. 우륵이 이 소식을 듣고 처음에는 매우 노하였으나 새로 줄인 5곡을 모두 듣고 난 뒤에는 눈물을 흘리며, “즐거우면서 음란하지 않고, 슬프면서도 비통하지 않으니 가히 아정하다(아담하고 곧바르다) 하겠다.”라고 감탄하였다고 한다.

일찍이 우륵이 지은 12곡명은 「하가라도(下加羅都)」·「상가라도(上加羅都)」·「보기(寶伎)」·「달기(達己)」·「사물(思勿)」·「물혜(勿慧)」·「하기물(下奇物)」·「사자기(獅子伎)」·「거열(居烈)」·「사팔혜(沙八兮)」·「이사(爾赦)」·「상기물(上奇物)」이다. 이 중에서 「보기」·「사자기」·「이사」를 제외한 나머지 9곡은 당시의 군현명과 같아서 해당 지방 민요의 성격을 띤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한국악기대관(韓國樂器大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