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우재문집
우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손중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손중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5대손 호익(晧翼)과 후익(厚翼)이 편집, 1900년에 간행하였다. 권말에 후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수, 서(書) 1편, 소(疏) 6편, 계 46편, 권2에 장 6편, 차자(箚子) 2편, 경연의(經筵議) 26편, 일기 1편, 권3에 입조편년(立朝編年) 상하 2편이 수록되어 있다.

소 가운데 「청거간당소(請去奸黨疏)」는 1514년(중종 9)의 유자광(柳子光)의 녹공(錄功)과 정막개(鄭莫介)의 남작(濫爵) 등을 지적, 이의 시정을 촉구한 것이다. 「청정별현우소(請旌別賢愚疏)」는 송질(宋軼)·홍숙(洪淑)·윤순(尹洵) 등을 파직시키고 휼륭한 사람을 등용해야 한다는 내용의 상소문이다.

「청체송질등겸사직소(請遞宋軼等兼辭職疏)」는 송질 등의 체직(遞職)을 강력히 주장하고, 아울러 사직을 청원하는 상소문이다. 「청구재정속소(請救災正俗疏)」는 당시의 가뭄은 큰 대변이니 공재(公財)를 털어서 곤궁한 백성을 진휼하고 세금을 적게 걷기를 주청한 것이다.

「오조소(五條疏)」는 강학(講學)·민은(民隱)·숭검(崇儉)·용인(用人)·사습(士習) 등 다섯 가지를 유의하여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청명심학소(請明心學疏)」는 심학에 힘써 마음을 바로잡고 백성을 교화시켜야 한다는 내용이다.

장 가운데 「창녕함창변괴장(昌寧咸昌變怪狀)」은 함창 어느 민가의 소가 목 하나에 머리가 둘, 귀가 셋, 눈이 넷, 입이 둘, 코가 둘인 수송아지를 낳은 것을 변괴라 하여, 임금이 수성(修省)하고 면학할 것을 강조한 내용이다.

그 밖의 공거문(公車文)에도 중종반정 후 시정을 논한 것이 많다. 일기는 저자가 1509∼1515년까지 승지로 있을 때의 일기이다. 또한, 「입조편년」은 1483∼1529년까지 입조 기록(立朝記錄)을 실록에서 뽑아 편성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