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 (· )

목차
관련 정보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
국방
사건
1968년 11월 120명의 북한 무장공비가 유격대 활동거점 구축을 목적으로 울진 · 삼척 지역에 침투한 사건.
목차
정의
1968년 11월 120명의 북한 무장공비가 유격대 활동거점 구축을 목적으로 울진 · 삼척 지역에 침투한 사건.
내용

이들 무장공비들은 그 해 1월 청와대 폭파를 목표로 서울에 침투하였던 북한민족보위성정찰국 소속의 124군부대로서, 침투지역 일원에서 공포분위기 속에서 주민들을 선전·선동하는가 하면, 양민학살 등 만행을 저질렀다.

북한이 무장공비를 투입한 것은 1·21사태 이후의 대남공작 실패를 만회하고 남한에서의 민중봉기를 유도하려는 거점 마련에 있었다.

나아가서 미국의 월맹에 대한 북폭중지와 파리평화협상회의의 진전에 따른 월남전의 종식에 초조한 나머지 한반도에서의 긴장조성을 통한 중국·소련의 군사원조 획득과 대대적인 정치위기 은폐의도에서 감행되었다.

무장공비들은 15명씩 8개 조로 편성되어 10월 30일, 11월 1일, 11월 2일의 3일간 야음을 타고 경상북도 울진군 고포해안에 상륙, 울진·삼척·봉화·명주·정선 등으로 침투하였다.

무장공비들은 군복·신사복·노동복 등의 갖가지 옷차림에 기관단총과 수류탄을 지닌 채 주민들을 집합시켜서 북한책자를 배포, 북한의 발전상을 선전하는 한편, 정치사상교육을 시키면서 ‘인민유격대’ 가입을 강요하였다.

울진군 북면 고숫골의 경우, 11월 3일 새벽 5시 30분쯤 7명의 공비가 나타나서 “경북경찰대에서 주민등록증 사진을 찍어주러 왔다.”라는 말로 마을사람들을 모은 다음, 사진을 찍고 위조지폐를 나누어 주며 사상선전을 하고 유격대지원 청원서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였다.

이 때 이 마을에 나타난 양양군 장성읍에 거주하는 전병두(32세, 노동)를 대검으로 찔러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른 지역에서의 만행도 잇따랐다.

삼척군 하장면의 한 산간마을에서는 80세 노인, 52세의 며느리, 15세의 손자 등 일가 세 사람이 난자당하였으며, 평창군 산간마을에서는 10세의 이승복(李承福) 어린이가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는 절규와 함께 처참한 죽음을 당하였다.

한편, 공비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신고하자, 당국은 11월 3일 오후 2시 30분을 기하여 경상북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 ‘을종사태’를 선포하고, 대간첩대책본부의 지휘 아래 군과 향토예비군을 출동시켜 소탕전을 벌였다. 소탕작전 결과 11월 16일까지 사살 31명, 생포 2명의 성과를 올렸으며, 연말까지는 침투했던 공비 대부분이 사살되었다.

이 사건으로 공비에 의해 피해를 입은 민간인과 소탕작전중 전사자는 모두 18명이었다. 생포된 공비의 증언에 따르면, 일당은 1968년 7월부터 3개월간 유격훈련을 받고 10월 30일 오후 원산에서 배로 출발하여 그 날로 울진해안에 도착하였으며, 복귀 때에는 무전지시를 받기로 하였으나 실패하여 독자적인 육상복귀를 기도하였다는 것이다.

한편, UN한국통일부흥위원단은 이 사건이 한반도의 긴장을 초래, UN의 평화통일노력을 방해하였다는 결론을 내리고 UN총회에 특별보고를 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북한의 이러한 대담한 대남교란행위는 국민의 반공태세를 한층 다지게 하였다.

참고문헌

『북한대남공작사』 2(중앙정보부, 1973)
『북괴도발삼십년』(송효순 편, 북한연구소, 197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양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