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납전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 대원군이 경복궁 중수를 위해 받아들인 기부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 대원군이 경복궁 중수를 위해 받아들인 기부금.
개설

1865년(고종 2) 대원군은 경복궁 중수 계획을 수립하고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각계각층에 자진해서 돈을 기부하게 하였다.

즉, 경재(卿宰) 이하로부터 지방관리에 이르기까지 재력에 따라 납부하게 하고, 중외(中外)의 사서(士庶)를 막론하고 원납하는 자에게 벼슬을 주었다. 종친부(宗親府)에 알려 왕실이 솔선수범하도록 하였다.

내용

천의현(千宜鉉)·하청일(河淸一)·장순규(張淳奎)·안석주(安石柱) 등이 대원군의 위임을 받아 원납전 염출을 담당하였다. 그 결과 착수 10여 개월 만에 468만 6,298냥(兩)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1866년 경복궁 중수공사장의 화재로 중수사업에 큰 지장이 발생하였다. 이에 원납전만으로는 공사비를 충당할 수 없게 되자, 비상대책의 일환으로 1만 냥을 기부하는 자에게는 상민이라 하더라도 벼슬을 주고, 10만 냥이면 수령에 임명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66년 이후 징수실적은 대단히 부진하였다. 영건도감(營建都監)의 보고에 의하면, 1866년 104만 9,219냥, 1867년 10만 5,326냥, 1868년 85만 7,869냥 등으로 1865년의 징수액과 합치면 전체가 710만 2,600여냥에 이르렀다.

이러한 실적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노동력을 강제로 동원하고, 문세(門稅)·결두전(結頭錢)을 징수하였으며, 당백전을 주조하여 국가경제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경복궁 중건을 담당한 영건도감이 폐지된 1872년까지의 징수 총액은 백성과 왕실 종친으로부터 각각 727만 7,780냥, 34만 913냥을 거두어 761만 8,690냥에 이르렀다. 액수는 당시 재정상태로 보아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그 뒤 다른 명목으로 계속 강요되었으나, 홍시형(洪時衡)이 폐지론을 제기함에 따라 1873년 폐지되었다. 더욱이, 징수하는 과정에서 많은 민폐를 유발했기 때문에 ‘원납전(怨納錢)’이라는 별칭도 나왔다.

참고문헌

『고종기사(高宗記事)』
『고종실록(高宗實錄)』
『근세조선정감(近世朝鮮政鑑)』 상
『매천야록(梅泉野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조선기독교급외교사(朝鮮基督敎及外交史)』(이능화, 한국학연구소, 1977)
「대원군(大院君)의 등장(登場)」(신석호, 『한국현대사(韓國現代史)』 1, 신구문화사,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