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양문록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이양문록(劉李兩門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유씨·이씨 두 가문을 중심 축으로 가문 사이의 혼사 문제, 일부다처 간의 애정 문제, 궁정과 가정에서 야기되는 음모와 간계 등을 종합적으로 얽어 놓은 양문형 가문소설이다. 몽유 양식을 적극 활용하여 현실을 비판하거나 천상과 주인공을 연결시키기도 하며 조선 후기 유행한 유산기를 적극 활용하여 금강산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하고 있기도 하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개설

77권 77책. 국문 필사본. 유씨와 이씨 두 가문의 관계를 다룬 가문소설(家門小說)로, 대하소설이다.

내용

영락(永樂) 연간에 승상 유잠(劉潛)에게는 두 부인이 있었다. 첫째 부인 이씨와 둘째 부인 박씨는 모두 숙덕이 있어 자매처럼 의좋게 남편을 받들었다. 이 부인은 일찍 죽고 박 부인이 6남 2녀를 낳는다. 큰아들 유춘(劉椿)과 둘째 아들 유준(劉俊)은 일찍 벼슬길에 오르고, 셋째 아들 유진(劉眞)은 영웅의 기상을 타고 났다.

이때 영락 황제가 죽고 태자가 즉위하니, 한왕(漢王)이 역모할 생각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황성을 친다. 유 승상은 죽은 이 부인의 현몽으로 유진만을 데리고 피신하였는데, 황제는 유 승상의 셋째 아들 유진을 대원수로 삼아 진압하게 한다. 유 원수가 출전하여 한왕을 사로잡아 들이니, 황제는 유진에게 병부상서를 제수한다. 유 상서가 회군하여 하남백 이 승상의 딸과 혼인하고, 또 그 누이 필염(畢艶)은 이 승상의 아들 이 한림과 혼인하여 두 집안은 서로 도와 번성한다.

이때 남만이 중원을 침공하였으므로 유 상서와 이 한림이 출전하여 격퇴시킨다. 유 원수는 좌 승상에 남계후(南溪侯)를 책봉받고, 이 원수는 우 승상에 강하백(江河伯)을 책봉받는다. 그러나 유 승상과 이 승상은 조정이 점점 어려워짐을 보고 벼슬에서 물러나려고 한다. 그동안 다시 여러 가지 곡절을 겪고 나라가 어려움에 처하자, 금강탑과 이 승상의 아들 창원이 나라에 큰 공을 세우게 된다. 다시 옛집으로 돌아온 두 가문은 부귀와 영화를 누리며 행복하게 산다.

황제는 하남백의 딸 용란(龍蘭)을 태자비로 삼고, 이창원은 위왕(魏王)의 딸 화선군주(和仙郡主)와 혼인한다. 이에 황후는 후궁의 소생이 태자가 되는 것을 꺼려 태자 부부를 미워하여 해치려고 하는데, 유 승상이 천분을 보고 놀라며 위왕과 같이 궁중으로 들어가 황제에게 상소하여 음모를 밝힌다.

황제는 태자를 죽이려 한 황후를 폐위하고 윤 귀비로 황후를 삼으니, 윤 황후의 양녀 운빙(雲聘)이 이창원의 신선 같은 풍채를 보고 연모한 끝에 황후를 움직여 이 상서와 혼인한다. 운빙은 남편이 군주만 사랑하는 것을 시기하여 황후에게 군주를 모해하였고, 황후의 말을 들은 황제가 군주를 본가로 보내게 한다.

운빙은 유 상서의 아들 세창(世昌)이 장 승상의 딸과 혼인한다는 말을 듣고 개용단(改容丹)을 먹고 장 소저로 화한다. 그리고 신부방에 들어갔으나, 세창이 신부를 의심하고 가까이 하지 않는다. 장 부인이 이 사실을 알고 세창을 냉대하니, 세창이 통분해 하며 본부로 돌아와서 이미 유부에 와 있는 운빙에게 빠져버린다.

한편, 요녀 호미광(胡美光)은 황제의 사랑을 받아 귀비가 되어 태자비를 모해하고 죽이려 하였으나 양 상궁이 이를 구출한다. 호미광은 다시 이창원을 참소하여 사약을 받게 하였으나, 금강탑이 궁중으로 들어가서 호미광의 음모를 밝히고 그 요술을 타도한다. 태자비는 억울한 누명을 벗었으며, 태자도 유비가 살아 돌아옴을 보고 병을 떨치고 일어난다.

한편, 세창은 병이 깊어져서 생명이 위독한 지경에 빠지는데, 황제가 이 말을 전해듣고 장 부인으로 하여금 유부로 돌아가 그를 간호하도록 한다. 장 부인의 간호로 세창은 병이 나았으나 대신 장 부인이 병을 얻어 위독하게 된다. 장 부인은 남편의 간호로 회복되지만 남편에 대한 냉대는 여전하다. 그러자 세창이 장 부인을 가까이 하게 됨에 일가가 비로소 기뻐한다.

장 승상의 큰아들 계성(桂星)이 이창원의 딸을 보고 흠모하여 정혼을 하게 되고, 이부상서 여원(呂源)의 딸 경뇨의 청을 받아 그와도 혼인한다. 그러나 남편이 산서(山西) 지방의 순무어사로 집을 떠나자, 경뇨는 남편의 첫째 부인이 될 이 소저를 저주하여 병이 들게 하고, 남편이 아끼는 양기를 무수히 구타하여 죽을 지경에 이르게 한다. 게다가 장어사는 순무하다가 범시랑(范侍郎)의 딸 범 소저를 취하여 데리고 오니, 여씨는 범씨까지 시기하여 죽이려다 실패한다.

이 때 장 시랑은 이 소저를 원 부인으로 맞이한다. 여씨가 친정에 가 있다가 마지못하여 장부로 되돌아온다. 여씨는 원 부인 이씨에게 절하고, 범 부인과 서로 인사한 뒤에도 세 부인을 계속 괴롭힌다. 그러던 중 병으로 누워 있는 이 부인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투옥당한다. 여씨는 이 부인과 범 부인이 찾아와 위로해주는 것을 보고서야 비로소 뉘우치게 된다.

이 부인의 성덕이 다른 세 부인과 세 명의 첩을 감화시켰고, 이에 이 부인을 스승과 같이 받들고 본받아 가정이 화목하게 되었다. 여부에서는 딸의 개과천선함을 듣고 못내 기뻐한다. 유 상서가 입궐하여 유씨와 이씨 두 가문에 화평이 왔다는 것을 아뢰니, 황제가 치하하고 유 상서를 승상으로 삼아 선정을 펴게 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가문소설 가운데에서도 두 가문을 중심 축으로 하는 이른바 ‘양문형(兩門型)’에 속하는 것이다. 표제 그대로 유씨, 이씨 두 가문에서 전개되는 가문 사이의 혼사 문제, 일부다처 간의 애정 문제, 궁정과 가정에서 야기되는 음모 · 간계 등을 종합적으로 얽어 놓은 가문소설이다.

등장인물들이 곳곳을 여행하며 남긴 유람기가 작품에 보이는데 이러한 명승에 대한 관심을 넘어 특정 공간이 작품에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것 또한 중요하다. 금강산은 이연기가 수명을 연장 받는 반대급부로 10년간 유리하는 액을 겪게 되는 동안 찾아간 곳이다. 금강산을 지나며 그곳의 풍광을 자세히 묘사하는데, 이는 작품 내적으로 보면 중국의 인물이 조선의 금강산을 여행하며 찬탄하는 것이어서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는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작품 서사 기법 중 몽유 양식을 적극적으로 자주 활용하는 모습이 특징적이다. 꿈을 통해 등장인물들과 천상의 관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현실의 모순을 제시하거나 혹은 이상향을 제시하는 등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김은일,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몽유양식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고소설연구』 38, 한국고소설학회, 2014)
김지연, 「고전소설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금강산 유람과 공간적 의미」(『온지논총』 59, 온지학회, 2019)
이수봉, 「유이양문록」(『한국가문소설연구』, 경인문화사, 1992)
차충환, 「「유이양문록」의 인물과 공간 연구」(『국어국문학』 151, 국어국문학회, 200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