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하 패총 ( )

고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조개더미.
이칭
이칭
김해유하패총(金海柳下貝塚)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면적
10,181㎡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해 유하패총(金海 柳下貝塚)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기념물(1979년 05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 18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하패총은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조개더미이다. 경상남도 기념물 제45호로 지정되어 있다. 처음 알려진 이후, 2015년과 2016년 두 차례의 정식 조사를 통하여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구 및 유물을 확인하였다. 유하패총 주변으로 다수의 조개더미가 확인되고 있어 삼국시대 생활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조개더미.
발굴경위 및 결과

유하패총(柳下貝塚)은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조개더미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4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의 ' 김해양동고분군'과 마주 보고 있어 고분과 관련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유적이 알려진 이후 2015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국립김해박물관과 김해대성동고분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발굴 조사는 조개더미의 범위 및 층위를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조개껍데기층이 구릉부의 사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고, 조개더미의 끝단에는 2m 이상의 조개더미가 형성되어 ' 김해회현리패총'과 같은 자연 구릉의 사면에 형성된 조개더미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유구로 시대 미상의 널무덤 1기, 삼국시대 수혈(竪穴) 18기, 삼국시대의 토기가 다수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출토 유물은 토기류, 토제품, 철기류, 석기류, 골각기(骨角器) 등이다. 토기류는 굽다리접시, 컵모양토기, 연질옹(軟質甕), 굽다리항아리, 입큰잔 등의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그 외에 사슴뿔자루, 손칼, 골각촉 등의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고 있다.

조개껍데기, 동물 유체 등의 자연 유물도 다수 확인되었는데, 조개껍데기류는 굴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 바지락, 백합 등의 모래바닥과 암초에 서식하는 고둥류가 다수 확인된다. 포유류는 소수가 확인되었으나, 도구에 주로 이용하는 사슴이 많이 보이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유하패총은 ' 김해 대성동 고분군'과 함께 대표적인 가야 고분인 '김해양동고분군'과 관련된 생활유적으로 평가된다. 유하패총 주변에 다수의 조개더미가 확인되고 있고, 유적이 위치한 구릉 정상부에서도 주거지 및 수혈 시설 등이 확인되고 있어 ‘김해회현리패총’, ‘김해양동고분군’ 등과 함께 삼국시대 김해의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의 하나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해유하패총(金海柳下貝塚)』(국립김해박물관, 2017)

논문

김헌석, 「김해유하패총 출토 동물유체와 그 의미」(『유하동유적으로 본 금관가야』, 한화문물연구원, 2020)
집필자
김헌석(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무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