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양동리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서기전 1세기의 나무널무덤과 서기 2세기 이후부터 5세기 전반의 덧널무덤, 서기 4세기 후반 이후의 구덩식돌덧널무덤으로 이루어진 고분군.
이칭
이칭
김해 양동리 고분군, 김해양동고분군(金海良洞古墳群)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서기전 1세기~서기 5세기
관련 국가
변한|금관가야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2004년 07월 24일 지정)
소재지
경남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번지 등
내용 요약

김해 양동리 고분군은 서기전 1세기의 나무널무덤과 서기 2세기 이후부터 5세기 전반의 덧널무덤, 서기 4세기 후반 이후의 구덩식돌덧널무덤으로 이루어진 고분군이다. 서기전 1세기 전반부터 나무널무덤이 조영되기 시작하여 변한의 구야국부터 금관가야가 가장 발전한 서기 5세기 전반까지 지속해서 조영된 유적이다. 무덤 구조와 껴묻거리의 각 시기별 특징과 변화 모습은 낙동강 하구 물질 자료의 편년과 계통, 이 지역에서 활동한 집단의 성장 과정과 대외관계 등 변한에서 가야로의 변천 과정을 살피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정의
서기전 1세기의 나무널무덤과 서기 2세기 이후부터 5세기 전반의 덧널무덤, 서기 4세기 후반 이후의 구덩식돌덧널무덤으로 이루어진 고분군.
발굴경위 및 결과

김해양동고분군은 가곡마을 뒤 해발 90m의 전체 약 9만㎡ 정도의 면적에 자리하며, 구릉 전체에 서기 전후부터 5세기 전반에 이르는 고분이 분포한다.

고분군은 1992년부터 2020년까지 문화재연구소 · 동의대학교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해동문화재연구원, 한화문물연구원 등에 의해 여덟 차례 조사가 이루어졌다. 여덟 차례의 발굴 조사에서 주1 2기, 나무널무덤 55기, 주2 10기, 주3 453기, 주4 41기, 주5 83기 등 모두 644기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무덤들이 분포된 구릉의 주 능선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내려 있는데, 발굴 조사 결과 무덤들은 주 능선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면서 여러 무덤들로 심하게 겹쳐져 있고, 가장자리로 가면서 듬성듬성하다.

형태와 특징

나무널무덤은 해발 35∼55m 사이인 구릉 아래 자리에 분포한다. 무덤 길이 방향이 등고선과 엇갈리게 주 능선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묘광 길이가 200∼300㎝, 너비 90∼130㎝, 깊이 100㎝ 정도이고, 나무널은 길이 200㎝, 너비 60㎝, 높이 30∼40㎝ 내외이다. 나무널은 상자 모양이다.

나무널무덤이 조영된 중심 시기는 1세기 후반에서 2세기 전반이다. 출토 유물로는 주머니항아리 · 소뿔모양손잡이항아리 등의 토기류, 구리칼 · 쇠칼 · 쇠화살촉 · 쇠투겁창 등의 무기류, 청동고리 · 주6 · 주7 등의 청동기류와 유리 또는 수정, 유리와 수정을 꿰어 만든 목걸이 등이 있다.

김해양동고분군에서 가장 많은 수가 확인된 덧널무덤은 해발 35m에서 정상부인 80m에 걸쳐 2세기 후반 이후부터 4세기 후반 또는 5세기 전반까지 만들어졌다. 덧널무덤은 길이 방향이 등고선 방향과 나란하다. 규모가 작은 것은 길이 2.5∼3.0m, 너비 2.0m에서, 큰 것은 길이 8.0m, 너비 4.0m에 이르는 등 차이가 크다.

구릉 능선 정상부 가까이에 위치한 일부 덧널무덤은 주인공을 매장한 주곽과 주8를 넣은 딸린덧널의 2개 구덩이를 나란하게 배치한 사례도 있다. 현재 영남 지역에서 가장 빠른 덧널무덤으로 알려진 162호에는 100여 점 이상의 다양한 성격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덧널무덤은 앞 시기의 나무널무덤보다 면적이 훨씬 늘어나 많은 수량의 껴묻거리가 부장(副葬)되었고, 그 종류도 다양하다.

출토 유물로는 굽다리접시 · 뿔잔 · 굽달린입큰항아리 · 굽달린곧은입항아리 · 무른항아리 · 화로모양토기 · 짧은목항아리 · 두귀달린짧은목항아리 · 작은그릇받침 · 토기잔 · 원통모양그릇받침 · 바리모양그릇받침 · 컵모양토기 · 원통모양토기 등의 토기, 쇠칼 · 주9 · 쇠투겁창 · 쇠화살촉 · 고리자루큰칼 · 호미 · 손칼 · 낫 · 삽날 · 주10 · 쇠도끼 · 납작쇠도끼 · 주조괭이 · 쇠스랑 · 철복 · 투구 · 갑옷 · 재갈 · 발걸이 등의 철기, 한경 · 동정 · 구리창 · 말꼴띠쇠 · 고리모양구리 기구 · 동복 · 원통모양구리 기구 등의 청동기, 유리 · 수정 · 금박구슬 등으로 만든 목걸이 · 팔찌 · 발찌 등의 장신구가 있다.

특히 이곳의 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수정 또는 수정과 유리를 꿰어 만든 목걸이는 이 시기의 가장 뛰어난 보석 세공 기술과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특히 3세기에 축조된 덧널무덤인 270호에서 출토된 수정 목걸이와 322호에서 출토된 수정제 곱구슬과 다면옥 · 주11 구슬옥 · 유리 구슬옥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보석으로 구성된 322호 목걸이는 2020년 10월 21일 보물로 각각 지정되었다.

구덩식돌덧널무덤은 해발 40m에서 70m 사이인 구릉 아래에서부터 정상 가까이의 사면부에 분포하며, 길이 방향이 등고선 방향과 나란하다.

돌덧널은 막돌 또는 깬돌로 적게는 4∼5단, 많게는 10단 내외로 쌓아 올렸다. 일부 돌덧널에는 길이 방향의 안쪽 벽면 가까이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3∼4개의 기둥을 세운 구멍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 구멍들은 돌덧널을 쌓기 전에 나무 기둥을 세우고 바깥쪽에 두께가 얇은 나무판을 붙인 후 이 나무판에 돌을 기대어 쌓기 위해 설치하였다.

대부분의 돌덧널 바닥에는 냇돌을 깔았다. 뚜껑돌은 확인되지 않았는데, 나무 뚜껑이 덮인 것으로 추정된다. 구덩식돌덧널무덤에서도 많은 수량과 다양한 종류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4세기 후반의 덧널무덤 출토품의 구성과 같다.

의의 및 평가

김해양동고분군은 서기전 1세기부터 서기 5세기까지 오랜 기간 형성된 김해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분묘 유적이다. 서기전 1세기 전반부터 나무널무덤이 조영되기 시작하여 변한의 구야국부터 금관가야가 가장 발전한 5세기 전반까지 지속해서 조영된 유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호화찬란한 유물과 많은 철기 유물의 부장은 양동리에 공동 묘역을 조성한 집단이 김해 대성동 고분군을 만든 집단과 함께 구야국과 금관가야의 지배 집단임을 여실히 보여 준다. 특히 여러 지역의 유물이 이곳에 집중된 현상은 국제 중개 무역항으로서의 김해 지역의 위치를 분명하게 해 주며, 당시의 국제 정세를 파악하는 데도 중요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해양동리고분군Ⅳ』(동의대학교박물관, 2019)
『김해양동리고분군Ⅲ』(동의대학교박물관, 2019)
『김해양동리고분군Ⅱ』(동의대학교박물관, 2017)
『김해 양동리 유적』(국립김해박물관 · 김해시, 2012)
『김해양동리고분군Ⅰ』(동의대학교박물관, 2008)
『김해양동리고분문화』(동의대학교 박물관 2000)
『김해양동리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국립문화재연구소 1989)
주석
주1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서 쓴 무덤. 주로 청동기 시대에 썼다.    우리말샘

주2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3

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평양 부근의 낙랑 고분, 경주 부근의 신라 고분이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4

주검을 위에서 수직으로 넣도록, 옆으로 트인 창이나 입구 없이 돌로 네 벽을 짠 무덤.    우리말샘

주5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 무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쓰여 지금까지도 일부 섬 지방에서 쓰이는데, 하나의 토기만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 개 또는 세 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6

중국 한(漢)나라 때의 거울.    우리말샘

주7

중국 한나라의 거울을 본떠 우리나라에서 만든 거울.    우리말샘

주8

장사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9

칼 모양의 몸통에 미늘 같은 뾰족한 날이 드문드문 있는 연장.    우리말샘

주10

풀뿌리를 뽑거나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 쟁기보다 조금 작고 보습이 좁게 생겼다. 청동기 시대의 유물에서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말샘

주11

석영, 단백석(蛋白石), 옥수(玉髓)의 혼합물. 화학 성분은 송진과 같은 규산(硅酸)으로, 광택이 있고 때때로 다른 광물질이 스며들어 고운 적갈색이나 흰색 무늬를 띠기도 한다. 아름다운 것은 보석이나 장식품으로 쓰고, 그 외에는 세공물이나 조각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