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가야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일원에 위치한 아라가야의 왕성지로 추정되는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소재지
경상남도 함안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2019년 10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289 일원
내용 요약

함안 가야리 유적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일원에 자리한 아라가야의 왕성지로 추정되는 유적이다. 성벽, 망루와 각종 건물지, 우물지 등의 시설물과 무기와 무구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아라가야 지배층의 위상뿐만 아니라, 가야 왕성의 실체와 내부 공간 구조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으로 평가된다. 2019년 10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정의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일원에 위치한 아라가야의 왕성지로 추정되는 유적.
발굴 경위 및 결과

2018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었고, 2019년과 2020년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성벽, 토루, 각종 건물지, 망루, 창고, 우물지 등의 시설물과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형태와 특징

함안 가야리 유적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신음천을 사이에 두고 남쪽에는 아라가야 함안 말이산 고분군[사적]이 위치하고, 신음천 북쪽인 가야리 유적의 동쪽에 남북 방향으로 뻗은 구릉에 남문외 고분군이 위치한다.

함안 가야리 유적은 남동-북서 방향의 나지막한 구릉 위에 만들어져 있다. 발굴조사가 된 북서쪽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너비 20~40m, 높이 8.5m의 토성벽을 만들었고, 그 위에는 2줄의 목책열이 확인되었다. 성벽은 중심 토루 내외곽으로 6m의 간격을 두고 성벽 방향을 따라 약 60~80㎝ 간격으로 열을 지어 나무기둥을 세웠다.

그리고 성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주1은 중심 토루 윗부분에서 약 60~70㎝ 깊이에서 약 60~80㎝ 간격을 두고 8개가 좁은 범위에서 영정주를 중심으로 연결 설치하였다. 이 나무틀 사이에 흙을 채우고 다져 성벽을 쌓았는데, 성토 방법이 확연하게 차이나는 지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성벽을 구간별로 나눠서 축조했음을 나타낸다. 목책은 중심 토루를 파고 지름 30㎝ 정도의 나무기둥을 되묻어 설치하였다.

성벽 안쪽에서는 망루 · 창고 · 고상건물 · 수혈[구덩이] 건물 · 집수지 등 다수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건물터는 모두 14동으로 수혈 건물터 12동과 고상 건물터 2동인데, 건물들이 중앙의 빈터를 중심으로 둥글게 배치되어 있다. 건물터에서는 쇠화살촉 · 쇠도끼 · 비늘갑옷 조각, 항아리받침대 · 손잡이잔 ·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망루와 대형의 건물지, 무기와 무구 등의 유물들이 출토되어 군사와 관련된 시설과 군사집단이 거주한 공간으로 추정된다.

의의 및 평가

함안 가야리 유적은 아라가야의 전성기인 5~6세기에 축조된 왕성지로 추정되며, 토성을 쌓는 다양한 토목기술과 함께 군사적 기능의 건물터와 유물 등이 확인되어 아라가야 지배층의 위상뿐만 아니라 가야 왕성의 실체와 내부 공간 구조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으로 평가된다. 2019년 10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기타 자료

「함안 가야리 유적에서 목조 구조물을 이용한 판축토성 확인」(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 10. 30.)
「함안 가야문화권 주요 발굴성과 공개」(문화재청 보도자료, 2018. 12. 18.)
「경남 함안에서 아라가야 왕성의 실체 처음 확인-아라가야 왕궁추정지에서 대규모 토성과 목책 발견-」(문화재청 보도자료, 2018. 6. 7.)
주석
주1

판축 시 가로 방향으로 고정시킨 목재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