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칠산동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법륜사 경내에 있는 삼국시대 무덤.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군
건립 시기
삼국시대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법륜사
내용 요약

부산칠산동고분군(釜山漆山洞古墳群)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법륜사 경내에 있는 삼국시대 무덤이다. 부산복천동고분군이 자리한 구릉 끝자락에 있다. 이 무덤은 1970년 4월 초 범어사 말사인 법륜사 경내에 구리종을 주조하기 위해 지하를 굴착할 때 발견되어 5세기 후반의 구덩식돌덧널무덤으로 확인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4일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 수습 조사하였다. 이 무덤이 부산복천동고분군이 자리한 구릉의 남쪽 끝에서 확인됨으로써 부산복천동고분군의 규모가 현재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범위보다 훨씬 컸음을 알려 주는 계기가 되었다.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법륜사 경내에 있는 삼국시대 무덤.
발굴경위 및 결과

부산칠산동고분군은 부산복천동고분군의 구릉 정상부에서 남서쪽으로 500m 떨어진 구릉 말단부에 자리해 있다. 이곳에는 범어사의 동래포교당인 법륜사가 있다. 부산칠산동고분군은 1970년 4월 초 법륜사 경내의 마당 남쪽에서 구리종을 만들기 위한 공사 중에 유물이 노출되었고, 같은 해 4월 14일에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종료 후 무덤은 없어졌다.

형태와 특징

부산칠산동고분군은 공사에 의해 내부가 완전히 훼손되었고, 매장 주체 시설은 주1이 없어졌지만, 벽들은 비교적 잘 남아 있었다. 매장 주체 시설은 구덩식돌덧널이며, 규모는 길이 4m, 너비 75㎝, 깊이 70㎝이다.

조사 시 작성한 도면에 의하면, 돌덧널의 북쪽으로 치우쳐 내부에 돌을 쌓아 주곽과 부곽으로 구분한 구조이다. 남쪽에 주검과 부장품 일부를 안치하였고, 북쪽에는 토기 등을 부장하였다. 돌덧널의 벽체는 깬돌과 막돌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쌓았다.

돌덧널에서 출토된 유물로 알려진 종류로는 둥근바닥짧은목항아리와 굽달린긴목항아리 각 5점, 굽달린사발 2점, 주2이 달린 굽달린사발 1점, 뚜껑접시 3점, 굽다리접시 7점, 큰항아리 1점, 쇠투겁창 2점, 쇠도끼 2점, 꺾쇠 1점, 덩이쇠로 추정되는 개체 3점 등이다. 고분 출토품으로 보고된 토기들은 5세기 후반의 부산복천동고분군 출토품과 양상이 같다. 이 유물들은 현재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있다.

의의 및 평가

부산칠산동고분군이 자리했던 구릉 일대는 삼국시대 부산의 지배층 집단들이 묻힌 부산복천동고분군의 범위에 포함되지만, 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범위에서 벗어나 있다. 이는 부산칠산동고분군이 부산복천동고분군이 자리한 구릉의 남쪽 끝에서 확인됨으로써 부산복천동고분군의 규모가 사적으로 지정된 범위보다 훨씬 컸음을 알려 주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에 부산칠산동고분군의 북쪽으로 50여 m 떨어진 곳에서 나무널무덤 · 주3 · 주4 등이 조사된 바 있다.

참고문헌

논문

金東鎬, 「부산칠산동제일호고분발굴조사보고」(『문화재』 6, 국립문화재연구소, 1972)
주석
주1

무덤 구덩이를 덮는, 판으로 된 돌.    우리말샘

주2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 목이나 팔 따위에 두른다.    우리말샘

주3

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평양 부근의 낙랑 고분, 경주 부근의 신라 고분이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4

주검을 위에서 수직으로 넣도록, 옆으로 트인 창이나 입구 없이 돌로 네 벽을 짠 무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