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금성면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
이칭
이칭
금성면 고분군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목곽|석곽|적석목곽|횡혈식 석실
건립 시기
삼국시대
재질
흙|돌
소재지
경상북도 의성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2020년 04월 01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224-2 등 253필지
내용 요약

의성 금성면 고분군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4세기부터 7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무덤이 만들어진 의성 지역의 중심 고분군으로, 삼국시대 의성 지역에 해당하는 조문국(召文國)의 존재 모습과 이후 신라에 귀속되고, 신라문화가 정착하는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역사적 · 학술적 · 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 2020년 4월 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
변천

의성 금성면 고분군은 금성산의 서쪽 산록의 모지산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길게 뻗은 독립 능선에 자리한다. 고분군은 이 지역 행정리에 의해 과거 탑리 고분군, 대리리 고분군, 학미리 고분군으로 불리었으나 최근 금성면 고분군으로 통합되었고, 대리리군 · 탑리군 · 학미리군으로 구분된다. 금성면 고분군은 4세기부터 7세기에 이르는 오랜 시기에 걸쳐 만들어졌다.

의성 금성면 고분군의 서쪽에 해당하는 대리1리 마을 북쪽에 자리한 대리리군에는 봉분 밑변 지름이 10~15m 또는 20~30m 크기의 봉분이 있는 무덤 50여 기가 분포한다. 남쪽에 자리한 탑리군에도 봉분 밑변 지름이 10~30m 크기의 무덤이 70여 기 이상 분포한다. 이 탑리군은 1969년도에 국립박물관에서 Ⅰ~Ⅵ에 이르는 6기의 무덤이 조사되었다. 이때의 발굴조사에 의해 금성면 고분군의 중요성이 알려지게 되었다. 학미리군은 금성면 고분군의 동북쪽 구릉 일대에 자리하며, 20여 기의 크고 작은 무덤이 분포한다. 지금까지 20여 기의 고분이 조사되었다.

형태와 특징

의성 금성면 고분군의 무덤들은 봉분이 확인되지 않고 1기의 곽만 있는 것, 하나의 봉분 내부에 여러 기의 곽으로 이루어진 것, 하나의 봉분에 돌방이 있는 것 등 다양하다. 금성면 고분군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무덤은 하나의 봉분 내에 여러 기의 곽이 있는 형태로서 대부분 밑변 직경이 15m 이상인 대형 고분에서 뚜렷하다.

무덤 중앙부에 곽을 설치하고, 이후 중심 곽의 둘레에 따라 여러 기의 곽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이곳의 곽들은 지면을 얕게 파서 만든 구덩이 안에 주1을 만들고 목곽과 구덩이 사이에 자갈돌을 두텁게 채워 만들었다. 이 모습이 경주지역에 있는 주2와 유사하여 적석목곽묘로 부르기도 한다.

발굴조사에서 은제관장식, 금제귀걸이, 은제허리띠꾸미개 등의 장신구와 등자 · 재갈 · 행엽 등의 말갖춤새, 여러 종류의 무기와 다양한 형태의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장신구는 경주 지역의 무덤에서 나온 것과 형태가 같지만, 토기들은 신라 토기에 포함되면서도 의성 지역만의 독특한 특징이 확인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의성 금성면 고분군은 삼국시대 의성 지역의 고분군에서 규모가 가장 클 뿐만 아니라, 밑변 지름이 큰 무덤이 다수 분포한 중심 고분군으로 진한의 소국이었던 조문국의 존재 모습과 이후 신라에 귀속되고, 신라문화가 정착하는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역사적 · 학술적 · 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 2020년 4월 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의성 대리리 45호분』(성림문화재연구원 · 의성군, 2016)
『의성 대리리 45호분』(성림문화재연구원 · 의성군, 2015)
『조문국의 지배세력과 친족집단』(의성조문국박물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의성 대리리 2호분』(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2)
주석
주1

나무덧널

주2

돌무지덧널무덤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