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장군 묘 ( )

목차
관련 정보
고양 유형 장군 묘 전경
고양 유형 장군 묘 전경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조선시대 무신 유형의 무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유형장군묘(柳珩將軍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78년 10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69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조선시대 무신 유형의 무덤.
개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위치한다. 17세기에 처음 조성된 것을 1874년(고종 11)에 보수하였다. 1978년 10월 10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유형(柳珩, 1566~161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판서 유진동(柳辰仝)의 손자이다. 무과에 급제하기 이전인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함께 싸워 공을 세웠고, 급제 후에는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 휘하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이후 삼군수군통제사와 황해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묘역의 규모는 90㎡다. 봉분은 사성(莎城)으로 둘러싸였고, 앞에는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이 있다. 그 오른쪽으로는 묘비가 있고 그 앞에 좌우로 문인석이 있다.

신도비(神道碑)는 묘소 아래 길 옆에 있다. 규모는 총높이 273cm로, 비신 높이 174㎝, 너비 75㎝, 두께 47㎝이고, 재료는 화강석이다. 원래의 비문은 이정구(李廷龜)가 글을 짓고, 김현성(金玄成)이 글씨를 썼으며 김상용(金尙容)이 전액(篆額)을 썼다. 현재의 비문은 이정구가 지은 것을 정학교(丁學敎)가 글씨를 쓰고 이남식(李南軾)이 전액을 쓴 것이다.

전액은 ‘증영의정보조공신진산부원군시충경유공신도비명(贈領議政輔祚功臣晋算府院君諡忠景柳公神道碑銘)’이라고 쓰여 있고, 숭정기원후 오갑술(崇禎紀元後五甲戌)이라는 사실에서 1874년(고종 11)에 다시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장군의 묘소 옆에는 조부(祖父)인 유진동(柳辰仝)의 묘소가 있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대관』(경기도, 1990)
『고양군지』(고양군지편찬위원회 편, 1987)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정진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