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용선 ()

목차
대종교
인물
해방 이후 총본사 찬리, 상교, 정교 등을 역임한 대종교인.
이칭
죽헌(竹軒)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3년(고종 30)
사망 연도
1966년
본관
칠원(漆原)
출생지
경상남도 함안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총본사 찬리, 상교, 정교 등을 역임한 대종교인.
내용

본관은 칠원(漆原). 호는 죽헌(竹軒). 경상남도 함안 출생.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하였고 상경하여서는 한의원을 경영하였다. 의술이 출중하였을 뿐 아니라 상재(商才)에도 뛰어나 많은 재산을 이룩하였는데, 이를 독립지사 및 그 가족들을 위하여 희사한 독지가였다.

1946년 2월 총본사가 만주에서 환국하자 저동(苧洞)에 사옥(司屋)을 주선하는 데 힘썼다. 지교(知敎)로 됨과 동시에 총본사 찬리(贊理)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8월에 상교(尙敎)로 승진되었다.

특히, 이 때 총본사 저동(苧洞)의 사옥(司屋)을 주선하는 데 힘쓰는 등, 광복 초기에 교단의 제반기초를 잡는 데 공헌하였다. 그 뒤 1950년대의 혼란기를 거치는 동안 기여한 공로로 인하여 1960년에는 정교(正敎)로 승진됨과 동시에 대형(大兄)의 호를 받았고, 원로원참의(元老院參議)에 피임되었다.

참고문헌

『대종교중광육십년사(大倧敎重光六十年史)』(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대종교총본사,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