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악기(雅樂器)로 삭고(朔鼓)와 더불어 건고(建鼓)에 부수되는 작은 북이다. 전정헌가(殿庭軒架)에 건고의 좌우에 함께 진설되며, 삭고의 선창(先唱)에 화응(和應)하는 북이다.
응고는 입고(立鼓, 建鼓)와 비고(鼙鼓, 朔鼓)와 함께 고려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들어와 조선말까지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문헌통고(文獻通考)』의례(儀禮) 대사례(大射禮)에서는 “건고 하나는 남동(南東)에 있고, 고삭비(鼓朔鼙, 삭고)는 북에 있다.”라고 하였고, 『예기』에서는 “현고(懸鼓)는 서에 있고, 응고는 동에 있다.”라고 하였다.
『이아(爾雅)』에서는 작은 북을 응고라 하고, “삭고는 일명 삭비(朔鼙)니 시작할 때 치고, 응고는 일명 응비(應鼙)니 화종(和終)하는 북으로 전정헌가에 쓰인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건고를 가운데 두고 응고는 동쪽에, 삭고는 서쪽에 진설하여 음악을 시작할 때 먼저 삭고를 치고 응고를 친 다음 비로소 큰 북인 건고를 치는 것이 작악(作樂)의 절차였다. 응고는 삭고와 함께 작은 북에 속하나 응고가 삭고보다 약간 더 작다.
응고의 양쪽 가죽면의 지름은 1척 3촌이고, 북통의 길이는 2척 2촌이며, 가운데 둘레는 5척 4촌이다. 가자는 엎드린 4마리의 호랑이를 새긴 2개의 받침대 위에 틀을 세우고 틀 위 양쪽에 봉황 모양의 조각으로 장식하였다. 가자의 높이는 4척 2촌 5푼이고, 너비는 2척 7촌 5푼이다. 가자의 중앙에는 달을 그리고 붉은 칠을 하는데, 삭고는 해 모양에 흰 칠을 한 것이 서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