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번 ()

목차
관련 정보
조선권번 예기양성소
조선권번 예기양성소
국악
개념
민족항일기에 만들어진 기생조합.
목차
정의
민족항일기에 만들어진 기생조합.
내용

조선시대의 기생제도는 관기로서 궁중의 약방이나 상방(尙房) 등에 소속되어서 약을 달이거나 바느질하는 일을 하다가, 궁중의 연향(宴饗)이 있을 때에는 노래나 춤을 추었다.

국권을 상실한 뒤 관기제도가 없어지면서 기생들이 최초로 모인 조합이 서울의 광교조합(廣橋組合)이었다. 광교조합은 남편이 있는 기생, 즉 유부기(有夫妓)들로 된 조합으로, 뒤에 한성권번(漢城券番)으로 개칭하였다.

기생에게는 본래 시문(詩文)·음곡(音曲)·습자(習字)·가무(歌舞)·예의(禮儀)를 가르쳤는데, 음곡은 가곡(歌曲)과 가사를 가르치고 춤은 정재(呈才)를 가르쳤다. 그 뒤 권번에서는 시조와 경기잡가·서도잡가·민요 등을 추가하여 이습시켰다.

권번은 주식회사 제도로 운영되었는데, 주된 기능은 모든 교육과정을 수료한 기생들이 요정에 나가는 것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것이었다. 그 뒤 계속 권번이 번창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정악원학감(正樂院學監) 하규일(河圭一)이 무부기(無夫妓)들을 모집하여 서울 다동에 세운 조선권번(朝鮮券番)이었다.

한성권번과 조선권번에 이어 전성욱(全聖旭)이 서울 낙원동에 종로권번을 설립하여 세 조합이 경쟁하여 서로 명창들을 배출하였다. 그 뒤 세 권번이 병합하여 삼화권번(三和券番)이라는 이름으로 발족했다.

한편, 지방에서도 권번이 설립되어 기성권번(箕城券番)을 비롯하여 광주(光州)·남원·달성(達城)·경주·개성·함흥 등의 권번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평양에 있던 기성권번이 널리 알려졌다. 권번은 제2차 세계대전이 치열해질 무렵 일제의 강압정책으로 폐쇄되었다.

참고문헌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
『한국예술총람』-개관편-(대한민국예술원, 196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성경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