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번 ()

목차
관련 정보
조선권번 예기양성소
조선권번 예기양성소
국악
개념
민족항일기에 만들어진 기생조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민족항일기에 만들어진 기생조합.
내용

조선시대의 기생제도는 관기로서 궁중의 약방이나 상방(尙房) 등에 소속되어서 약을 달이거나 바느질하는 일을 하다가, 궁중의 연향(宴饗)이 있을 때에는 노래나 춤을 추었다.

국권을 상실한 뒤 관기제도가 없어지면서 기생들이 최초로 모인 조합이 서울의 광교조합(廣橋組合)이었다. 광교조합은 남편이 있는 기생, 즉 유부기(有夫妓)들로 된 조합으로, 뒤에 한성권번(漢城券番)으로 개칭하였다.

기생에게는 본래 시문(詩文)·음곡(音曲)·습자(習字)·가무(歌舞)·예의(禮儀)를 가르쳤는데, 음곡은 가곡(歌曲)과 가사를 가르치고 춤은 정재(呈才)를 가르쳤다. 그 뒤 권번에서는 시조와 경기잡가·서도잡가·민요 등을 추가하여 이습시켰다.

권번은 주식회사 제도로 운영되었는데, 주된 기능은 모든 교육과정을 수료한 기생들이 요정에 나가는 것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것이었다. 그 뒤 계속 권번이 번창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정악원학감(正樂院學監) 하규일(河圭一)이 무부기(無夫妓)들을 모집하여 서울 다동에 세운 조선권번(朝鮮券番)이었다.

한성권번과 조선권번에 이어 전성욱(全聖旭)이 서울 낙원동에 종로권번을 설립하여 세 조합이 경쟁하여 서로 명창들을 배출하였다. 그 뒤 세 권번이 병합하여 삼화권번(三和券番)이라는 이름으로 발족했다.

한편, 지방에서도 권번이 설립되어 기성권번(箕城券番)을 비롯하여 광주(光州)·남원·달성(達城)·경주·개성·함흥 등의 권번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평양에 있던 기성권번이 널리 알려졌다. 권번은 제2차 세계대전이 치열해질 무렵 일제의 강압정책으로 폐쇄되었다.

참고문헌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
『한국예술총람』-개관편-(대한민국예술원, 196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