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원 장군 묘 및 신도비 ( )

목차
관련 정보
평택 이대원장군 묘
평택 이대원장군 묘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에 있는 조선전기 무신 이대원의 무덤. 신도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이대원장군묘및신도비(李大源將君墓및神道碑)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80년 06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산 83-6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에 있는 조선전기 무신 이대원의 무덤. 신도비.
개설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에 있다. 1980년 6월 2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함평이씨 종중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이대원(李大源, 1566~1587)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호연(浩然)이다. 1583년(선조 16)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역임하였고, 전라도 녹도(鹿島) 만호(萬戶)가 되었다. 1587년(선조 20) 남해안에 왜구가 출몰하자 그들을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고, 이후 왜구가 흥양(興陽)에 다시 침입하자 군사 100여 명을 이끌고 손죽도(巽竹島)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묘역은 사성(莎城)으로 둘러져 있으며 3개의 봉분이 있는데 좌우의 것은 부인의 묘이다. 봉분 앞에는 묘비가 있고 상석(床石)과 향로석이 있으며 상석 앞에는 장대석(長臺石)으로 계절(階節: 무덤 앞에 평평하게 만들어 놓은 땅)을 만들었다. 상석 좌우에는 망주석(望柱石) 1쌍을 배치하였다.

묘역 아래에 있는 신도비는 병조참판(兵曹參判)으로 추증되고 11년 후인 1699년(숙종 25)에 건립된 것이다. 규모는 총 높이 325㎝, 비 높이 217㎝, 너비 87㎝, 두께 39㎝이고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비문은 남구만(南九萬)이 글을 짓고, 조상우(趙相愚)가 글씨를 썼으며 전액(篆額)은 김진규(金鎭圭)가 했다. 후손들이 근래에 묘 부근에 사당과 동상을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평택시사』상·하(평택시사편찬위원회, 2001)
『경기문화재대관』(경기도, 1990)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정진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