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구수리에 위치한다. 1975년 9월 5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덕남(李德南)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윤보(潤甫)이다. 안성 출신으로 20세 때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을 역임하였다. 훈련원 부정 재직 당시에 이순신과 함께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를 받았으나 임진왜란 직전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수차례 격퇴하였다. 또한 그는 용인 · 죽산 등지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치다가 안성 서운산성(瑞雲山城)에서 왜적의 기습공격으로 전사하였다.
봉분은 부인과의 쌍분(雙墳)이다. 묘비 이외에는 일체의 석물이 없었으나, 1975년에 후손들이 상석(床石), 향로석, 장명등, 망주석과 무인석 각 1쌍, 오석제(烏石制) 묘비를 다시 세웠다.
원래의 묘비는 묘역에서 약 80m 앞쪽에 세웠다. 이 묘비는 팔작지붕형 가첨석(加檐石)에 비신(碑身)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조이다. 비문은 영조대 학자인 윤봉구(尹鳳九)가 지었고, 홍봉조(洪鳳祚)의 글을 김진상(金鎭商)이 새긴 것이다. 묘 아래쪽에는 1687년(숙종 13)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하면서 세운 정려각(旌閭閣)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