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금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초기의 왕호(王號). 이 왕호는 제3대 유리왕대부터 사용하여, 제16대 흘해왕 때까지 계속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조에 의하면, ‘이사금’이란 ‘치리(齒理)’라는 뜻이라고 밝히고 있다.
목차
정의
신라 초기의 왕호(王號). 이 왕호는 제3대 유리왕대부터 사용하여, 제16대 흘해왕 때까지 계속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조에 의하면, ‘이사금’이란 ‘치리(齒理)’라는 뜻이라고 밝히고 있다.
내용

옛말에 이[齒]가 많은 사람, 즉 연장자는 성스럽고 지혜로운 사람(聖智人)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김대문(金大問)도 치리의 방언이라고 설명하였다. 유리왕과 탈해왕이 서로 왕위를 사양하다가, 이의 수효를 세어 유리왕이 먼저 즉위하였으므로 왕호를 이사금으로 하였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근래에 와서 이사금이란 ‘니슨금’·‘닛금’·‘니은금’이 임금으로 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부족사회에서 족장을 추대하는 데 이로써 현우(賢愚)를 가리던 풍습이 뒤에 계승자를 의미하는 왕을 뜻하는 말로 발전하였다고 본다.

왕호가 차차웅(次次雄)으로부터 이사금으로 변한 것은, 유리왕 때 초보적이나마 관제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에서 살펴볼 수 있는 사로국(斯盧國)의 성장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이사금 칭호가 사용된 하한선에 대해서 『삼국사기』에는 제18대 실성왕대까지 16대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고, 『삼국유사』에는 제16대 흘해왕까지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제17대 내물마립간부터 신라의 국가적 활동이 활발해지는 사실은 왕권의 강화에 의하여 뒷받침된 것이므로, 흘해왕까지를 이사금으로 칭한 『삼국유사』의 기록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왕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대남당고(古代南堂考)」(이병도, 『서울대학교논문집 인문사회과학』 1, 1954 ;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사로국(斯盧國)의 형성과 그 통치조직」(이종욱, 『신라국가형성사연구』, 일조각, 1982)
집필자
정중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