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연 ()

임연당집(권1) / 갑흥류 중 일부(시)
임연당집(권1) / 갑흥류 중 일부(시)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동지중추부사, 호조참판, 동지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진숙(晋叔)
임연(臨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71년(영조 47)
사망 연도
1853년(철종 4)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동지중추부사|호조참판|동지돈녕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동지중추부사, 호조참판, 동지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진숙(晋叔), 호는 임연(臨淵).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이상운(李商雲)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릴 때부터 문장이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밝았다.

1830년(순조 30) 음보(蔭補)로 선공감에 제수되고, 1834년에 사옹원봉사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1838년(헌종 4)에 충청도도사에 임명되었으며, 1842년에 공조참의, 1850년(철종 1) 동지중추부사로 승진, 1851년 호조참판·동지돈녕부사 겸 부총관에 임명되었다.

만년에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 『심경』과 『근사록』으로 스승을 삼아 제자백가는 물론 역대 전장문물(典章文物)·성력술수(星曆術數)·전제군정(田制軍政)에 널리 통하였으며, 늙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아니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다.

『침두서(枕頭書)』·『석담작해(石潭酌海)』·『가례비요(嘉禮備要)』·『상제집홀(喪祭輯笏)』 및 시문집으로 『임연당집(臨淵堂集)』이 있다. 문장이 전아간고(典雅簡古)하여 후학들이 다투어 암송하였다 한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