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생·강씨 정각 (· )

목차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후기 병자호란 당시 의병 이윤생과 부인 강씨 관련 정려각. 사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이윤생·강씨정려(李允生·姜氏旌閣)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기념물(1990년 11월 09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404번길 34 (용현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후기 병자호란 당시 의병 이윤생과 부인 강씨 관련 정려각. 사우.
개설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위치한다. 1990년 11월 9일에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윤생(李允生, 1604~1637)의 본관은 부평(富平)이다. 이윤생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강화도에서 남한산성으로 통하는 길목인 원도(猿島)에 주둔하면서 청군과 대적하였다.

첫날은 의병이 크게 승리하였으나, 다음날 대군을 이끌고 공격해 온 청군에게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결국 패하였다. 이때 이윤생도 화살을 맞고 전사하였다. 부인 강씨는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바다에 몸을 던져 남편의 뒤를 따라 의절(義節) 하였다.

이 때문에 조정에서는 강씨에게 정려(旌閭)를 내렸다. 이후 1861년(철종 12)에 이윤생은 좌승지에 추증되었고,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정려로 표창되었다. 부인 강씨 역시 숙부인(淑夫人)에 추증되었다.

정려각은 인천시 용현동 주택가에 있다. 두 칸의 작은 건물로 안에는 이윤생과 강씨의 정려가 한 칸 씩 좌우로 걸려 있다. 편액에는 ‘충신통정대부좌승지겸경연참찬관이윤생지려 열부증숙부인금천강씨지려(忠臣通政大夫左承旨兼經筵參贊官李允生之閭 烈婦贈淑夫人衿川姜氏之閭)’와 ‘부증숙부인 금천강씨지려(烈婦贈淑夫人衿川姜氏之閭)’라는 글귀가 쓰여 있다.

참고문헌

『인천시사』(인천광역시, 1993)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정진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