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정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광주판관, 전중시사, 기거사인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우정언|광주판관(廣州判官)|전중시사(殿中侍史)|기거사인(起居舍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광주판관, 전중시사, 기거사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충숙왕 때 검교정승(檢校政丞)에 오른 이진(李瑱)의 형이며, 이제현(李齊賢)의 큰아버지이다. 아들은 이부(李榑)와 이규(李樛)로 각각 사인과 헌납에 이르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6년(충렬 2) 윤3월 우정언으로 있으면서 당시 내수(內竪: 內僚)들이 친종행리(親從行李)의 공으로 허통(許通)되어 조정의 반열을 어지럽히는 것을 첨의부(僉議府)의 낭사(郎舍)들과 더불어 간쟁하였는데, 충렬왕이 노하여 듣지 않고 오히려 일을 보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이 때 100여 인과 공모하여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죽이려 하였다는 익명의 투서 때문에 다루가치에 의하여 구금되었다가, 무고임이 밝혀져 곧 풀려났다.

1278년 사간으로 있을 때에도 능력이나 공로가 없고 오히려 흠이 있는 사람들이 관직에 제수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낭사로서 고신(告身)에 서명하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왕의 노여움을 사 사의대부(司議大夫) 백문절(白文節)·김서(金㥠), 전서(典書) 최수황(崔守璜) 등과 함께 구금되었다가 석방되었다. 이후 광주판관(廣州判官)을 거쳐 1280년 3월 전중시사(殿中侍史)가 되었으며, 기거사인(起居舍人)에까지 올랐다.

성품이 강직하여 첨의부의 낭사로서 고신에 서명할 때에는 반드시 공적과 허물을 따졌으므로 원망하는 자들이 많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역옹패설(櫟翁稗說)』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