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리 ()

음례고증
음례고증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강릉참봉, 의령현감, 춘추관기주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심부(審夫)
순계(醇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83년(정조 7)
사망 연도
1843년(헌종 9)
본관
전주
주요 관직
강릉참봉(康陵參奉)|의령현감|춘추관기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강릉참봉, 의령현감, 춘추관기주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심부(審夫), 호는 순계(醇溪). 이계화(李繼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보천(李輔天)이다. 아버지는 이재성(李在誠)이며, 어머니는 유은(柳憖)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07년(순조 7) 진사시에 합격하여 강릉참봉(康陵參奉)과 의령현감을 지냈다. 1835년(헌종 1) 현감으로 있으면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전적이 되었다가 그 이듬해 춘추관기주관으로 『순조실록』의 편찬에도 참가하였다.

도당록회권(都堂錄會圈)에서 4점을 얻었고 1837년 헌납이 되었다. 홍석주(洪奭周)를 탄핵하기 위하여 삼사가 합계(合啓)할 때 병을 핑계로 참석하지 않아 영암에 귀양갔다가 2년 뒤에 풀려나와 수찬이 되었다.

이 해 동지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가서 조세관계와 국내의 사정을 관찰하고 귀국하여 보고하기를 “청나라에서는 농민들의 납세액이 토지 10묘(畝)에 3두2승(三斗二升)인데 정역(丁役)은 1년에 은 6돈3푼(六錢三分)뿐이고, 광제원(廣濟院)을 두어 백성을 치료해주며 육영당(育嬰堂)을 설치하여 고아들을 기른다.”고 복명하였다.

1842년에는 수찬으로 장릉(長陵)과 인릉(仁陵)의 친제(親祭) 때 예의 집행을 잘 한 공로를 인정받아 상을 받고 가자되었으며, 그뒤 공조참의를 거쳐 북청부사가 되어 재직중 사망하였다. 저서로 『음례고증(飮禮攷証)』이 전한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매산집(梅山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