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예조판서, 좌참찬,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평중(平仲)
송국재(松菊齋), 소은(蘇隱)
시호
명헌(明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34년(세종 16)
사망 연도
1486년(성종 17)
본관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주요 관직
한성부좌윤|호조참판|평안도관찰사
정의
조선 전기에, 예조판서, 좌참찬,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평중(平仲), 호는 송국재(松菊齋)·소은(蘇隱). 이색(李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종선(李種善)이고, 아버지는 영중추원사 이계전(李季甸)이며, 어머니는 진호(秦浩)의 딸이다. 이개(李塏)의 동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0년(세종 32) 진사가 되고, 이듬 해 증광 문과에 급제, 교서관저작랑(校書館著作郎)·집현전박사·응교·지승문원사·집의·보덕 등을 거쳐, 1462년(세조 8) 판내자예빈사(判內資禮賓事)로 예문관을 겸하였다. 이듬 해『동국통감(東國通鑑)』 찬수에 참여했고, 이 해에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우승지를 거쳐 1465년 도승지·공조참의를 지냈다.

이듬 해 한성부좌윤으로 발영시(拔英試)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1467년 호조참판을 거쳐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이듬 해 대사성이 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승습사(承襲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75년(성종 6) 이조참판이 되어『삼국사절요』를 편찬하여 바쳤으며, 이 해 덕종의 부묘문제(祔廟問題)가 일어나자 적극 반대하였다. 이듬 해 지중추원사로 정조사가 되어 또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77년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했으나, 평안도로 이주시킨 남도의 백성들이 흩어지자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1480년 다시 지중추부사 겸 도총관·예문관제학이 되고 이어 예조판서가 되었다. 예조판서 때 직무수행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해 왕으로부터 서각띠[犀角帶]가 하사되었고, 품계도 숭정대부(崇政大夫)으로 승진되었다.

1485년 좌참찬을 거쳐 우찬성이 되고, 이어 좌찬성에 올랐으나 폭음으로 죽었다. 젊은 나이에 벼슬이 높았으나 교만하거나 뽐내는 기색이 없었다 한다. 또한 자질이 호탕, 활달하며 총명하고 특히 담론을 잘 했다. 성리학에 밝았고 고제(古制)에 해박했으며, 문장이 뛰어났다. 시호는 명헌(明憲)이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해동잡록(海東雜錄)』
집필자
강영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