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고(子皐)
단고(丹皐)
시호
문헌(文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이조판서|예조판서|공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경상감사 김노경(金魯敬)의 질서(姪婿: 조카 사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17년(순조 17) 8월에 통정대부에 오르고 1819년에 정사 홍희신(洪羲臣)과 함께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에 올랐다가 연소광구(聯疏匡救: 널리 구하는 정책을 펴라는 연맹 상소)로 파직되었다. 그러나 곧 검교대교·예방승지·홍문관직제학·대사간을 거쳐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827년 정월에 비변사제조로 차임(差任: 뽑혀서 임명됨)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교체되었으나 탐욕스런 행위로 말미암아 9월에는 삭출(削黜)되고 말았다. 1830년 안동김씨 세도가인 김조순(金祖淳)의 조카뻘 되는 김교근(金敎根)과 함께 탐진모리를 꾀하다가 성균관 유생들이 끈질긴 소를 올림으로 마침내 향리로 쫓겨나게 되었고, 그 뒤에도 양사에서 죄줄 것을 청하였으나 윤허되지 않았다.

그러나 1841년(헌종 7) 결국 추자도로 유배되고, 1849년 3월에 자전(慈殿)의 명에 의하여 풀러난 뒤 철종 때에 이르러 다시 도총관에 특채되고 이어 한성부판윤·형조판서·예조판서를 제수받았다.

그 뒤 잠시 평안도관찰사·수원부유수를 거쳐 다시 이조판서·예조판서·공조판서를 역임한 뒤 판돈녕부사·판의금부사에 올랐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