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금보 ()

목차
국악
문헌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조음」 · 「우조중대엽」 · 「북전」 등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악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조음」 · 「우조중대엽」 · 「북전」 등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악보.
내용

한지에 모필로 필사된 1책 41장의 악보로, 가로 19.5cm 세로 32cm이다. 남평(南平) 문씨(文氏) 종가 인수문고(仁壽文庫,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면 본리동)에 소장되어 있다.

표지제명은 ‘금보(琴譜)’이나 다른 금보와의 구별을 위하여 소장처에 따라 ‘인수금보’라 불린다. 합자보(合字譜)와 한글 육보(肉譜)로 기보되었으며, 악곡에 따라 궁상자보(宮商字譜)가 병기되었다. 악곡에 따라 정간(井間) 또는 대강(大綱)의 표시가 있다.

수록악곡은 「조음(調音(平調))」·「다ᄉᆞ림 하편장중대엽(下篇長中大葉)」·「우조중대엽(羽調中大葉)」·「만대엽(慢大葉)」·「북전(北殿)」·「중대엽(中大葉(俗稱 心方曲))」·「중대엽(中大葉) 又)」·「중대엽우조(中大葉羽調)」·「중대엽우조계면조(中大葉羽調界面調)」·「중대엽평조계면조(中大葉平調界面調)」·「감군은(感君恩)」·「보허자(步虛子)」·「영산회상(靈山會上)」·「만대엽(慢大葉(趙晟譜))」·「금가금보(今歌琴譜)」이다.

이 중 「감군은」까지는 『양금신보(梁琴新譜)』를, 「만대엽」은 『조성보(趙晟譜)』를 전사한 것이며, 앞부분에 여러 악보에서 전사한 잡기(雜記)가 실려 있다. 내용으로 보아 『이수삼산재본금보(二水三山齋本琴譜)』, 『남훈유보(南薰遺譜)』, 『금보단』(박기환(朴淇煥) 소장), 『금보』(경북대학교 소장) 등이 이본이다.

참고문헌

「인수금보(仁壽琴譜)」(『한국음악학자료총서』19, 국립국악원, 198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