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역 ()

목차
관련 정보
반곡선생인역
반곡선생인역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성이심이 『주역』을 인간학적인 차원에서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성이심이 『주역』을 인간학적인 차원에서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5권 3책. 목활자본. 표제는 ‘반곡선생인역(盤谷先生人易)’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총론격으로 의의도설(擬議圖說)·문자회범례(文字膾凡例)가 있고, 권1∼4는 문자회, 권5는 11개의 도설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의의도」에는 『인역』의 전 체계가 제시되어 있다. 『주역』 계사전에는 “역에는 태극이 있는데 이것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는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은 팔괘(八卦)를 낳는다.”고 하여 태극·양의·팔괘가 『주역』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인역』은 여기에 심성론적 덕목을 대비시키고 있다.

「문장장본」에서는 문답 형식을 통해 『인역』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인역』의 제문제를 밝히면서 역학의 정종이 심성의 기법임을 강조하였다. 「문자회범례」에서는 『인역』이 『통감(通鑑)』과 『대학』·『중용』에 의거한 바가 있음을 밝히고, 의리와 상수(象數)의 관계를 논하였다.

「문자회」는 「문자회 1」과 「문자회 2」로부터 「문자회 3」과 「문자회 4」까지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가 있다. 「문자회 1」에서는 『인역』과 태극에 해당하는 명(命), 양의에 대비되는 모(貌)와 심(心) 그리고 사상인 언청시사(言聽視思)와 팔괘인 칠정과 경이 다루어지고 있다.

「문자회 2」에서부터 「문자회 4」까지는 64가지의 덕목이 64괘에 대비된다. 예를 들면 실(實)을 무망괘(无妄卦)에, 신(信)을 중부괘(中孚卦)에 대비시키고 있다.

각 항목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심성론적 덕목을 역의 괘 내지는 개념에 대비시키는 이유와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그 덕목이 포함되거나 관계되는 여러가지 설을 주로 사서오경과 주자를 비롯한 성리학자들의 문헌에서 인용하였다.

셋째, 저자는 문답 형식을 통해 덕목을 『주역』의 괘효사(卦爻辭) 및 단상전(彖象傳)과 관계시켜 역학적인 입장에서 논술하는 동시에 괘의 본질을 인간학적인 차원에서 해명하였다.

의의와 평가

『인역』은 인간을 세계의 중심으로 극히 중요시하는 한국 사상을 기저로 하고 송대의 역학과 조선조의 사단칠정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전개한 인간학적 역으로, 한국 철학사 연구의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