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국 ()

목차
관련 정보
임종국
임종국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비」, 「자화상」 등을 저술한 시인. 비평가, 사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9년
사망 연도
1989년
출생지
경상남도 창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비」, 「자화상」 등을 저술한 시인. 비평가, 사학자.
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남도 창녕 출생. 1956년 고려대학교 정외과를 졸업하였다. 시작품 「비(碑)」(文學藝術, 1956.11.)와 「자화상(自畵像)」(思想界, 1960.1.) 등이 추천되어 시작 활동을 하였다. 이한직(李漢稷)의 추천으로 발표된 작품 「비」는 역사적 흐름을 겪고 산 한 생애가 비로 요약됨을 형상적으로 드러내며, 유한이 깃든 삶을 연민의 정으로 인식하는 내용이 보인다.

이어 「자화상」에서는 시대적 제한을 암시하는 벽을 설정하여 개인적인 삶의 실현이 고통스러움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기진한 나비’에서 시적 자아의 한계를 보이고, ‘유월의 질풍’에서 1950년대의 역사적 고통을 암시하여, 역사적 격류에 개인의 희망이 불확실함을 드러내어 역사의식에 민감한 서정적 감응을 보였다.

1960년대 사화집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저술로는 『친일문학론(親日文學論)』(1966)과 『흘러간 성좌(星座)』(1966)가 있다. 『친일문학론』에서는 일제 치하의 우리나라 작가·시인·비평가들 중에서 친일 작품을 발표하였던 인물들과 그 작품을 비판적으로 거론하였다.

이어 『흘러간 성좌』에서는 한용운(韓龍雲)·안창호(安昌浩)·이상(李箱)·권덕규(權悳奎)·윤심덕(尹心悳)·신채호(申采浩)·황석우(黃錫禹)·홍난파(洪蘭坡) 등 일제치하의 문학예술가 및 사상가들을 전기적 측면에서 다루었다. 특히, 일제의 가혹한 억압에도 굴함이 없이 사상적 일관성을 견지하였던 점을 주요하게 드러내어 민족의식을 주축으로 하여 저술하였다.

이 책의 서문에서 조지훈(趙芝薰)은 우리의 역사 속에서 업적을 낸 인물들 가운데 ‘기이(奇異)한 행장(行狀)’이 나타나 있음을 말하면서 그러한 ‘기행(奇行)’이 역사적·사회적 산물임을 일깨우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