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경지함흥일기 ()

목차
고전산문
작품
1810년(순조 10)에 김원근(金元根)이 일기 형식으로 쓴 기행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10년(순조 10)에 김원근(金元根)이 일기 형식으로 쓴 기행록.
내용

1책. 국문필사본. 종숙(從叔)인 김명순(金明淳)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함흥감영으로 부임할 때에 1810년 김원근이 모시고 갔다가 금강산을 두루 구경하고 돌아와서 지었다.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에 있는데, 원고지에 펜글씨로 옮겨 쓴 후사본(後寫本)이다. 표지에는 ‘자경지함흥일기(慈慶志咸興日記)’라고 쓰여 있고, 속표지에는 ‘ᄌᆞ경지함흥일긔’와 한자가 함께 기록되어 있다.

작품 맨 끝에 “자전마마 본곁 참판이 북백(北伯)으로 가셔 길 가던 일기 지어 드린 책”이라는 부기가 있어, 경전마마, 곧 순조비인 명경왕후 김씨(明敬王后金氏)의 뜻을 받들어 지은 함흥일기라고 풀이할 수 있다. 지은이 김원근은 명경왕후 김씨의 친정 오빠요, 김조순(金祖淳)의 아들이다.

내용은 크게 2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종숙 김명순이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할 때 함흥감영까지 모시고 갔던 사실을 적은 것으로, 1810년 3월 18일(음력) 서울에서 출발하여 4월 17일 함흥 도착 이후 함흥에 머무르면서 종숙과 근처를 구경하고 연회를 가졌던 배행일기 부분이다. 둘째는 4월 18일 종숙에게 하직을 고하고 함흥을 떠나 동료와 시종들을 거느리고, 금강산을 비롯한 관동팔경(關東八景) 일부를 구경하고 5월 6일 서울에 돌아오기까지의 관유기행(觀遊紀行) 부분이다.

노정은 동대문-다락원-포천-풍전역-김성-신안역-고산역-석왕사-안변-덕원부-고원군-영흥부-정평부-함흥-통천-장안사-고성군-다락고개-추지령-김화현-포천-서울로 약 2,000여 리가 된다.

이 작품에는 다른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기이한 소문과 이상한 일들에 대한 설화가 많이 소개되어 있다. 그 내용 중 첫 번째는, 회양의 읍한정(挹漢亭) 위에는 말갈(靺鞨)이 침략해왔을 때 쥐들이 말갈군의 무기를 못쓰게 하여 고려군이 승리할 수 있도록 해주었기에 그 공을 기린 쥐당[鼠堂]이 있다.

두 번째는 안변의 석왕사(釋王寺)에 있는 나한보살(羅漢菩薩)의 영험설화이다. 1804년 설봉산(雪峰山)에 큰 화재가 일어났을 때 산불이 석왕사로 달려들어 스님들이 어쩔 줄을 모르고 당황하다가 나한전의 나한보살에게 축원하였더니, 갑자기 큰비가 쏟아져 산불이 꺼졌다. 이에 석왕사가 온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흡곡(歙谷)의 상봉정(相逢亭)이라는 정자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옛날에 형제 감사가 있었는데, 하나는 강원도감사이고, 하나는 함경도감사였다. 서로 만나려면 접도(接道) 감사라서 경계를 넘는 것이 되므로, 경계를 넘었다는 범법을 피하고자 형제가 함경도와 강원도의 경계에 있는 흡곡에다 정자를 짓고 서로 자기 도내를 순찰하다가 만나곤 했다는 데에서 이름이 연유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ᄌᆞ경지함흥일긔의 지은이에 대하여」(최강현, 『시문학』86∼88,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