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5년(선조 8년)경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09.5㎝, 가로 227.2㎝. 일본 경도(京都)지온원(知恩院) 소장. 정확한 제작 연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림의 좌우에 긴 원문(願文)이 적혀 있어 제작 사정 뿐 아니라 연대 추정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화기에 의하면 ‘是歲九月(시세9월)’에 숙빈 윤씨 등이 명종비 인순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비구니 지명(智明) 등과 같이 재산을 내어 이 불화를 조성하고 자궁정사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아울러 주상전하·왕비전하·공의왕대비전하·덕빈저하·숙빈 윤씨 등이 오래 장수할 것을 바라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주상전하·왕비전하는 조선 제14대 선조 및 의인왕후(懿仁王后)이다. 그리고 공의왕대비전하는 인종비 인성왕후(仁聖王后)를 가리키는 것이다. 명문 중의 ‘是歲’라는 것은 1575년 이후 1577년 이전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불화의 제작 연대도 그 때에 해당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그림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윗부분에는 중앙에 지장보살이 한 손에는 보주, 다른 손에는 석장(錫杖 : 중이 짚고 다니는 지팡이)을 들고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다. 그 주위를 도명·무독귀왕과 지옥의 명부시왕(冥府十王), 우두(牛頭)·마두(馬頭) 판관 및 여섯 보살이 둘러싸고 있다.
본존인 지장보살은 둥근 얼굴에 가는 눈, 작은 입 등 당시 불화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동안에 가까운 얼굴 모습은 청평사 지장보살도(1562년)의 본존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밖에도 명부시왕의 의복이라든지 지장보살의 천의 등에서도 이 두 작품은 흡사한 면을 많이 보여 주고 있다. 그것은 이들 불화가 모두 비슷한 시기의 궁중 관계 발원 불화라는 점에서 비슷한 점을 가지게 되지 않았나 추정된다.
그림의 아랫부분에서는 발원문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18지옥의 광경을 묘사하고 있다. 중앙에는 불상과 보탑(寶塔)을 놓은 궤와 지장보살을 예배하는 공양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아래쪽에는 옥졸이 망자(亡者 : 죽은 사람)를 고문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각에 금니(金泥)로 18지옥의 명칭들이 적혀 있다.
여기에 적혀 있는 18지옥의 명칭, 즉 아비무간(阿鼻無間)·석개(石磕)·춘마(椿磨)·철오(鐵鏊)·박피(剝皮)·추장발폐(抽腸拔肺)·흑암(黑闇)·도산(刀山)·설산(雪山)·확탕(鑊湯)·업경(業鏡)·화갱(火坑)·철응(鐵鷹)·설경(舌耕)·동주(銅柱)·거해(鋸解)·철차(鐵車)·정신지옥(釘身地獄) 등과 도상은 ≪지장보살본원경 地藏菩薩本願經≫ 제3 관중생업연품(觀衆生業緣品)에 설명되어 있는 지옥의 양상 및 다른 시왕도의 도상과도 일치되는 바가 많다. 따라서 이 그림은 ≪지장보살본원경≫을 소의경전(所依經典)으로 삼고 있는 변상도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