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기는 길고 짧은 두 개의 막대로 치며 노는 어린이놀이이다. 주로 마당이나 골목 등에서 하는데 메뚜기치기·마때라고도 한다. 긴 막대를 채라 하고, 짧은 쪽은 알 또는 메뚜기라 하여 양쪽 끝을 뾰족하게 깎는다. 채로 알의 끝을 쳐 공중으로 튀어 오른 것을 다시 채로 힘껏 쳐서 멀리 보낸다. 이때 채로 '재어서' 점수로 삼는 까닭에 자치기라고 한다. 채를 쥐고 공격하는 편을 포수, 수비하는 편을 범이라고 부른다. 보통 놀이할 때 몇 점 내기를 할지 점수는 미리 정한다. 놀이 방법이나 진행 순서는 지방에 따라서 그 내용에 차이가 있다.
주로 마당이나 골목 등에서 하는데, ‘메뚜기치기’ · ‘오둑테기’ 또는 ‘막대’ · ‘마때’라고도 한다.
긴 막대를 ‘채’라 하는데 대체로 20∼30㎝ 가량 되고, 짧은 쪽은 ‘알’ 또는 ‘메뚜기’라 하여 양쪽 끝을 뾰족하게 깎았는데 길이가 7∼10㎝ 가량 된다.
채로 알의 끝을 쳐 공중으로 튀어 오른 것을 다시 채로 힘껏 쳐서 멀리 보내는데, 이때 채로 재어서 점수로 삼는 까닭에 ‘자치기’라고들 한다. 채를 쥐고 공격하는 편을 ‘포수’라 하고, 수비하는 편을 ‘범’이라고 부른다.
점수는 ‘동’ 또는 ‘자’라고 하는데, 놀이를 할 때 몇 동 내기, 몇 자 내기를 할 것인지 미리 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놀이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것이 일반적이다.
첫 번째는 길쭉하게 파놓은 함정 위에 알을 가로 얹어놓고 채의 끝을 이 함정에 넣어 알을 떠서 멀리 날린다. 이때 범은 알이 날아오리라고 생각되는 장소에 미리 가서 서 있다가 손으로 잡는다.
만약 범이 이를 잡으면 차례가 바뀌어 범이 포수가 되나 그렇지 못하면 그 자리에서 알을 함정으로 향하여 던진다. 이때 포수는 채로써 날아오는 알을 되받아 쳐서 멀리 날릴수록 유리하다.
알이 떨어진 곳에서부터 채로 거리를 재어 자로 셈하기 때문이다. 거리를 재기 전에 범이 포수에게 “몇 자?” 하고 물으면 포수는 짐작을 잘 하여 이에 대답하여야 한다. 범의 추측에 그 거리가 충분하다고 생각되면 그대로 인정하지만 모자랄 듯싶으면 실제로 재어보는데, 포수가 실제의 길이보다 많이 부른 경우에는 그가 범이 되고, 범은 포수가 되어 공격으로 들어간다.
두 번째는 알의 한 끝을 함정에 비스듬히 세웠다가 채로 쳐 올린 것을 다시 쳐서 멀리 보내게 된다. 이때 범이 그 알을 잡으면 약속한 점수를 얻게 되고, 놓치면 알이 떨어진 지점에서 함정으로 던진다.
그 결과 알이 함정에 걸리거나 또는 함정과 알의 사이가 알의 길이로 두자 안에 들면 범이 살고, 그렇지 못하면 죽는다. 함정과 알 사이의 거리는 놀이를 시작할 때 미리 정하여 둔다.
세 번째는 한 손에 채와 알을 쥐고 있다가 알만을 공중에 던져 올려서, 떨어질 때 이를 채로 받아치는 방법이다. 이를 헛치면 포수가 죽고, 날아오르는 알을 범이 잡으면 약속한 점수를 얻는다. 그러나 범이 죽으면 알이 떨어진 지점에서부터 채로 거리를 재어 자수를 셈한다.
네 번째는 채와 알을 두 손에 따로 쥐고 알만을 공중에 던져서 채로 후려치는 방법이다. 어느 편이 죽고 사는가 하는 점과 자수를 세는 내용은 앞의 놀이와 같다.
다섯 번째는 한 손에 알을 쥐고 다른 손의 채로 알의 끝을 쳐서 공중에서 뱅글뱅글 돌아가게 하였다가 채로 힘껏 쳐서 멀리 보내는 방법이다. 이때 헛치면 채를 범에게 넘겨주어야 한다. 여섯 번째는 함정에 알을 놓고 채를 쥔 손을 가랑이 밑으로 넣어서 가볍게 때려 공중에 뜨게 한 다음 채를 빨리 가랑이에서 빼내어 후려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순서로 놀이가 진행되는데 지방에 따라서 그 내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고, 이 일곱 가지 놀이순서를 모두 거쳐야 한 판이 끝난 것으로 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둘이 놀 때에는 포수가 실패할 때마다 범이 포수가 된다.
또, 승부를 자수로써 미리 정하기도 하고, 앞의 순서를 다 거치는 동안 채로 잰 거리의 수를 모두 합하여 정하기도 하며, 미리 몇 번 할 것인가를 정하여 놓고 그 횟수의 총 자수를 합하여 결정하는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