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산 구강당 및 주사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작산구강당 및 주사 정면
안동 작산구강당 및 주사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에 있는 조선전기 송안군 이자수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강학당. 부엌 · 강당.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작산구강당및주사(鵲山舊講堂및廚舍)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0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북후면 저전물한길 194-38 (물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에 있는 조선전기 송안군 이자수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강학당. 부엌 · 강당.
내용

1980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작산구강당은 송안군(松安君) 이자수(李子修)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학들의 학문연구를 위해 건립한 강당이다.

이 강당은 1480년(성종 11)에 지어졌으나 작산정사(鵲山精舍)를 새로이 건립함에 따라 원래의 강당인 이 건물을 구강당이라 부르고 있다.

주사는 강당을 수호하고 선생의 시재(時祭) 및 묘재(廟祭)를 준비하는 재실(齋室)로 쓰이는 건물로 강당과 같은 시기에 건립되었다.

강당은 좌측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민도리 홑처마 팔작기와지붕건물이며, 중앙 3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 · 우에 온돌방을 둔 형식이다. 주사는 口자형의 건물로 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주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도록』(동해문화사, 1995)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