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경위와 작자에 대한 언급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전하는데, 두 기록은 큰 차이를 보인다.
『고려사』에 의하면, 유탁(柳濯)이 전라도에 나가 진을 지킬 때에 위엄과 베풂을 겸비하여 군사들이 그를 좋아하며 두려워하였다. 때마침 왜적이 장생포를 침범하여 구원하러 가자 왜적이 그를 보고 두려워서 철수하므로 군사들이 기뼈서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유탁이 왜적을 만덕사(萬德社)에서 격파하고 포로를 다 돌려보냈는데, 그 뒤로는 왜적이 다시 침범하지 않아 유탁이 이 노래를 지었으며, 그 때 유탁의 군사들이 기뻐서 부른 노래는 「장생포곡」이 아니라 「동동(動動)」이라고 적혀 있다. 노래의 내용에 대한 설명이 없어 어느 기록이 옳은지 알 수 없으며, 가사가 전하지 않아 형식과 내용을 파악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