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온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동지밀직사사, 밀직사, 첨의찬성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88년(우왕 14)
주요 관직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목차
정의
고려후기 동지밀직사사, 밀직사, 첨의찬성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64년(공민왕 13) 원나라가 반원정책을 추진하던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德興君)을 세우자, 왕명으로 이를 해명하러 간 이공수(李公遂)의 수행원으로 갔다 온 뒤 상호군에 제수되었다.

1368년 예의판서(禮儀判書)로서 오왕(吳王: 명나라 태조인 朱元璋)을 방문하였다. 1369년 공부상서(工部尙書)로 명나라 수도에 가서 신정(新正)을 하례하고, 「본국조하의주(本國朝賀儀注)」를 청해 다음해 「본국조하의주」1책을 가지고 돌아와 예부상서에 임명되었다가 곧 진변도호부안무사(鎭邊都護府安撫使)로 전보되었다.

1371년 민부상서(民部尙書)로 명나라 수도에 가서 탐라(耽羅)를 토벌할 것을 요청했고, 이듬해 명나라와의 국교관계가 순조롭지 못하자 민부판서(民部判書)로 정료위(定遼衛)에 가 앞서 정비(鄭庇)가 명나라 수도에 바친 말을 받아들이지 않은 일에 대해 조사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돌아왔다.

같은 해 주영찬(周英贊)을 대신해 밀직부사로서 명나라 수도에 갔다 오고, 다음 해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명나라에 가서 조공도로가 개통된 것을 사(謝)하고 관복을 내려줄 것을 청하였다.

1374년(우왕 즉위년) 밀직사로 명나라 수도에 가서 공민왕의 부(訃)를 고하고, 시(諡)를 내려줄 것과 승습(承襲)해 줄 것을 청하였다.

1385년(우왕 11) 명나라 사신 주탁(周倬)이 번육(膰肉: 종묘와 사직에 바치는 고기)을 가지고 왔는데, 이에 대한 대접이 소홀했다며 이것을 운반한 밀직부사 구홍(具鴻)을 죽이라고 하였다. 이 때 “홍이 무인이라 예를 잘 알지 못한 탓이다.”라고 변호, 구홍의 목숨을 구해 주었다.

같은 해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로 명나라에 가서 사은하고 역서(曆書)를 가지고 돌아왔다. 1388년 첨의찬성사로 명나라에 사은하러 들어갔다가 고려에서 보낸 말이 열등품이라는 이유로 금의위(錦衣衛)에 갇혀 옥사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강진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