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재되어 있다. 소양인은 체질적인 특수성 때문에 표음(表陰)이 하강하지 못하고 울체(鬱滯)되기 쉬워 밖으로부터 한사(寒邪)가 침범되면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이 생기게 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소양상풍증(少陽傷風症)과 망음증인데, 망음증은 소양상풍증이 심하여져 생기는 것으로 신열두통망음과 신한복통망음의 두 가지가 있다.
신열두통망음은 소양상풍증의 치료가 완전하지 못해서 열이 기육(肌肉)의 사이에 남아 두통이 생기는 것이고, 신한복통망음은 평소의 정신적 불안과 섭생의 부주의에서 오는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복통이 생기는 것이다. 이 처방은 이 가운데 신열두통망음을 치료하는 것이다.
처방의 구성은 택사(澤瀉)·복령(茯苓) 각 7.5g, 저령·차전자 각 5.625g, 지모(知母)·석고(石膏)·강활(羌活)·독활(獨活)·형개(荊芥)·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소양인의 두통·설사·양명병(陽明病)·장감한(長感寒)·망음·토사·곽란·황달·소변불리·오림(五淋: 다섯 가지 임질)·교장(交腸)·서설(暑泄)·허설(虛泄) 등이다.
군약(君藥)을 이루는 택사는 신경(腎經)의 화(火)를 사(瀉)하여 주면서 청기(淸氣)를 상승시키고, 복령은 익비영심(益脾寧心)하면서 폐열(肺熱)을 사하여 주고 아래로 방광을 통하게 한다.
여기에 저령·차전자가 첨가되어 이수행습작용(利水行濕作用)이 강화됨으로써 이로 인하여 내려가지 못하고 울체된 표음을 하강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며, 또한 기육지간(肌肉之間)의 사열(邪熱)을 몰아내는 지모와 석고, 밖에서 들어오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강활·독활·형개·방풍을 합하여 만전을 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