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도체육대회 ()

목차
체육
의례·행사
중앙학도호국단 주최로 1952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 실시되었던 중 · 고등학교경기대회. 체육대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앙학도호국단 주최로 1952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 실시되었던 중 · 고등학교경기대회. 체육대회.
내용

학교체육을 진흥하고 학도의 체위향상과 상호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1952년 각급 중고등학교 학도호국단체육대회에서 시작되었다.

제1회 대회 때부터 남녀 중고등학교별 연합 체조를 비롯하여 20여 개의 경기종목을 실시하였으며, 체조·육상·구기·투기 등 학교체육 종합발표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중앙학도호국단에서 주최한 전국학도체육대회 외에 시도별 학도호국단에서 주최하는 학도체육대회가 있었다. 1958년부터는 서울학도체육대회 동계대회가 시작됨에 따라 각 시도에서도 동계학도체육대회를 실시하게 되었다. 참가구분은 중고등학교 및 남녀의 4개부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선수자격과 징계 등의 문제에 관하여서는 별도의 학생운동경기 참가요강으로 규정을 두었고, 경기방법은 대한체육회 산하단체의 경기규칙에 의하여 토너먼트식으로 실시하고 있다. 한 종목에 참가한 팀의 수가 4개 미만일 때에는 경기를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1960년 5월 학도호국단이 해체됨에 따라 1963년부터 1968년까지대한학교체육회가 경기의 주최를 일시적으로 맡았으며, 전국학도체육대회는 전국체육대회에 통합되고 시도별 학도체육대회는 시도교육위원회와 시도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각 시도별로 운영방법이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학도체육대회가 전국소년체육대회 및 전국체육대회의 선수선발 및 평가를 겸하고 있다.

이 대회는 학생들의 심신단련을 통하여 전체적인 학교체육의 활성화와 발전을 도모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교육적인 측면에서 적극적인 체육교육의 장(場)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수선발과 육성면에서도 커다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체육연감(體育年鑑)』(대한체육회, 1979∼1998)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연보』(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1953)
집필자
정찬모(단국대학교, 체육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