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녹생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좌상시, 대사헌, 문하평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맹경(孟耕)
야은(壄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18년(충숙왕 5)
사망 연도
1375년(우왕 1)
본관
담양(潭陽)
주요 관직
대사헌(大司憲)|정당문학(政堂文學)|문하평리(門下評理)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좌상시, 대사헌, 문하평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맹경(孟耕), 호는 야은(壄隱).

생애 및 활동사항

충혜왕 때 과거에 급제, 제주사록(濟州司錄)을 지낸 후 전교(典校)·교감(校勘)이 되었고, 정동성(征東省)의 향시(鄕試)에 합격하였다.

1347년(충목왕 3) 정치도감(整治都監)의 교감으로서 좌랑 서호(徐浩)와 함께 기황후(奇皇后)의 친척 동생인 기삼만(奇三萬)의 죄를 다스렸는데, 기삼만이 옥사하였으므로 옥에 갇혔다가 곧 풀려났다.

1357년(공민왕 6)에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서 우간의 이색(李穡), 우사간 이보림(李寶林), 좌사간 정추(鄭樞) 등과 함께 염철별감(鹽鐵別監)의 폐단을 논해 전녹생의 파견을 금하도록 했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1361년 홍건적의 침입을 피해 왕이 남행할 때, 전라안찰사로 왕을 호종해 2등공신이 되었다.

그 뒤 벼슬을 여러 번 옮겨 좌상시(左常侍)가 되고, 감찰대부(監察大夫)를 거쳐 대사헌·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러 추충찬화보리공신(推忠贊化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1371년(공민왕 20)에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였다. 1373년에 서북면도순문사로서 충혜왕의 얼자(蘖子)라고 칭하던 석기(釋器)가 이안(李安)·정보(鄭寶) 등과 어울려 반역을 꾀했다는 명목으로 체포해 목을 베었다.

1375년(우왕 1)에 간관 이첨(李詹)과 전백영(全伯英)이 이인임(李仁任)·지윤(池奫)을 벨 것을 왕에게 청하였다. 그런데 이첨(李詹)과 전백영(全伯英)을 옥에 가두고, 최영(崔瑩)·지윤 등을 시켜 국문하게 하였다.

이들의 말이 박상충(朴尙衷)·전녹생에게 관련되므로 최영이 이들을 심하게 국문하고 귀양을 보냈는데, 모두 가던 도중에 죽었다. 저서로 『야은집』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야은일고(壄隱逸稿)』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