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방산성 ()

목차
관련 정보
봉산 정방산성 성벽
봉산 정방산성 성벽
건축
유적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 정방산에 있는 조선후기 도원수 김자점이 개축한 성곽. 산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 정방산에 있는 조선후기 도원수 김자점이 개축한 성곽. 산성.
내용

북한의 국가지정문화재국보급 제89호. 둘레 12㎞. 성의 북쪽은 정방산의 험한 절벽을, 서쪽은 남산령을, 동쪽은 지봉산의 서장대(西將臺)와 연결되는 등성이를, 남쪽은 서장대에서 동쪽으로 정방골에 내리뻗은 능선을 이용하여 쌓았다. 성벽은 모두 그 바깥 경사면을 깎아내리고 절벽과 능선을 휘감아 바깥 면만 솜씨있게 쌓아올린 단애성벽(斷崖城壁)이다.

동·서·남쪽의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남문 부근의 성벽 높이는 7∼9m에 달한다. 성벽 위에는 톱날같이 성가퀴[城堞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를 쌓고 활과 총포 등을 자유롭게 쏠 수 있도록 사혈(射穴) 1,336개소와 포혈(砲穴) 4,800개소를 두었으며, 이밖에도 치성(雉城 :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성벽) 7개소, 곡성(曲城) 5개소를 설치하였다.

성문은 동·서·남·북에 1개씩 설치하였는데 그 중 서문과 북문은 돌축대에 홍예문(虹霓門)을 내고 그 위에 누각을 세웠다. 서문의 높이는 6.3m이며, 너비는 4.2m이며, 동문도 형태와 규모가 같다. 남문은 정방루(正方樓)라고 하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합각지붕건물이다.

성안에는 남장대(南將臺)·서장대·동장대·안주장대(安州將臺) 등 장대들이 있다. 또한 성 안에는 병영과 무기창고·군량창고 등 집터들이 있다.

이 성은 1633년(인조 11) 당시 도원수 김자점(金自點)의 지휘하에 개축한 것으로 1895년(고종 32)까지 산성별장(山城別將)을 두고 있었다. 이 성 안에 유명한 성불사(成佛寺)가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북한의 문화유적순례』(양태진, 백산출판사, 1995)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