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형 ()

정치
인물
해방 이후 국회외무위원장, 외무부장관, 신민당 부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
이칭
금연(錦淵)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4년(고종 41)
사망 연도
1982년
출생지
평안남도 용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국회외무위원장, 외무부장관, 신민당 부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
생애 및 활동사항

호는 금연(錦淵). 평안남도 용강 출신.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1929년 미국으로 건너간 후 신학(神學)을 전공하면서 재미유학생회(在美留學生會) 조직에 참여하여 외교부장으로 피선되어 독립정신 고취와 임시정부 지원을 위한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35년 뉴저지주 드루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6년 이태영(李兌榮)과 결혼했다. 일제강점기에 연희전문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45년 광복 후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역임하였다.

정부수립 후 1948년 유엔총회 한국대표단 고문, 구미지역파견 친선사절의 일원으로 활약하였으며, 1949년 유엔한국협회 회장에 취임하여 1960년까지 재직하였다. 1950년 2대국회부터 9대국회까지 8선에 걸쳐 의정생활을 하였다. 그 기간중 1950년 2대 국회외무위원장으로 활동하였고, 임시수도 부산에서 대한통신사를 창립, 사장에 취임하였다.

1956년 이후 당시 야당인 민주당에 속하여 외교부장을 지냈으며, 4·19혁명 후 민주당 내각에서는 외무부장관에 기용되었다. 이후 계속 야당에 소속되어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에 관한 조약의 비준에 반대하여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1966년 신한당(新韓黨) 고문, 이듬해에는 신민당(新民黨) 부총재가 되었다.

1969년 유엔총회 한국대표로 활약하였고, 그 해 국토통일원 고문에 추대되었다. 1971년 신민당선거대책본부장으로 당시 신민당 대통령후보 김대중(金大中)의 선거사무장을 맡았다. 1974년 신민당 고문에 추대되고, 이듬해 통일연구협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1976년 3월 유신정치에 반대하는 이른바 ‘3·1명동사건’에 연루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78년의 제10대 국회의원선거에는 자격정지로 아들 대철(大哲)에게 선거구를 물려주고 이후 재야에 머물렀다. 저서로 『UN과 한국』·『국제연합독본』·『유엔의 설립과 업적』·『오직 한길로』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집필자
제재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