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원 계산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기단식돌무지무덤. 적석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기단식돌무지무덤. 적석묘.
내용

이 유적은 북쪽에서 흘러 내려오는 남한강이 동북에서 남북방향으로 바뀌는 지점에서 국도변으로 70m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계산리의 고분들은 봉분이 거의 유실되어 있고 원형의 일부 호석만이 원상태대로 노출되어 있는 3기가 발견되었다. 봉분의 중심부로 추정되는 지점은 주위의 높이보다 약 1.5m 가량 높았고, 그 지름은 약 7m 정도로서 원형고분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제1호분의 환석은 전체 고분의 약 반 정도를 원형태로 보여주어 이 고분이 지름 9.3m의 대형 호석으로 둘러놓은 고분임을 알 수 있었다. 제1호분은 냇돌로 원형의 기반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토를 다져넣은 뒤 묘곽을 설치한 대규모의 고분으로 남한강 지역의 대표적인 삼국시대 고분이었다. 그러나 유물이나 기타 구조를 알 수 있는 발견물은 없었다.

제2호분은 산돌을 이용하여 축조한 지름 6m의 고분으로, 냇돌을 이용하여 바닥을 까는 방법과 묘곽을 지하가 아니라 적석상으로 지상에 형성한 적석 위에 설치하였던 점과 유구내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회백색 토기편들로 보아 고구려적 기반이 상당히 남아 있는 파괴분이다.

제3호분은 세개의 고분 중 제일 나중에 축조된 고분으로, 지름 6.6m의 원을 이루는 탄석을 축조한 뒤에 그 중앙 내부 전역에 냇돌과 산돌을 깔아 기단을 형성하였다.

제3호분에서도 삼국시대 토기편과 신라토기편, 조선도자기와 질그릇편들이 수습되었고 다른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결국, 이 고분은 삼국시대의 것들이며, 고구려계 문화와 연관이 있는 유적으로 판명되었다.

참고문헌

「제원계산리A지구원형적석고분발굴조사보고(堤原鷄山里A地區圓形積石古墳發掘調査報告)」(황용혼, 『충주댐보고서(忠州댐報告書)』,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