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지동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삼국시대 고분 관련 복합유적.
이칭
이칭
중원지동리유적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삼국시대 고분 관련 복합유적.
개설

제천천(堤川川)이 하천리에서 흘러오다가 지동리 입구인 서북쪽에서 동남으로 바뀌어 남한강 본류 쪽으로 흘러가는 곳으로 지동리에서 강 쪽으로 경사진 사질토층의 그리 넓지 않은 충적대지가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이 지역은 지표조사 시에 빗살무늬토기조각·민무늬토기조각·삼국시대 토기조각 등 다양한 유물들이 채취되었다. 발굴 결과, 2기의 주거지와 4기의 적석토광묘가 발견되었다.

주거지

제1호 주거지는 표토 아래 20∼25㎝ 깊이에서 발견되었다. 동서 길이 3m, 남북 길이 3.95m의 진흙을 사용해 바닥을 만든 방형 주거지였다. 진흙층의 두께는 15∼18㎝였으며, 지층 단면과의 연관에서 살펴볼 때 최초의 바닥 진흙층의 두께는 최소한도 20㎝ 정도의 두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주거지의 동쪽 구석에서 큰 판석 2개와 노지가 발견되었다. 이 노지는 지름 60㎝ 내외의 원형 노지로서 길이 40㎝ 정도의 냇돌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주거지에서는 민무늬토기 조각과 석기를 제작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제2호 주거지는 대체로 남북향을 장축으로 한 주거지이나 약간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발굴 당시 대부분의 주거지가 뒤에 축조된 적석고분에 의해 파괴되어 있었다.

원형 복원을 통해 남북 길이 5m, 동서 너비 3.7m의 장방형 주거지로 드러났으며 앞의 제1호 주거지와 같은 구조였다. 유구 내에서 공렬식 민무늬토기조각, 부러진 간돌칼조각, 석기 제작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 노지와 기둥자리 등은 파괴되어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적석토광묘

제1호 적석토광묘는 상당량의 적석들이 그 뒤의 농경 등에 의해 제거되어 규모나 크기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 적석토광묘의 묘곽 크기는 남북을 장축으로 한 방형 구조로서 남북 길이 2m, 동서 너비 0.45m였다. 바닥 진흙층의 두께는 15∼20㎝로 비교적 낮은 토광 바닥에 판축을 한 것이었다.

이 적석토광묘에서는 적석 상부에서 철화살촉 2점과 판축한 진흙 묘곽에서 승석문토기의 구연부와 동체의 일부가 발견되어 적석토광묘의 시대와 성격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제2호 적석토광묘는 표토 하 25㎝에서 처음 적석의 일부가 발견된 것으로 남북 장축의 방형 적석이었다. 길이 20∼30㎝, 두께 15∼20㎝에 달하는 하천석을 주로 사용한 이 적석토광묘의 묘곽 크기는 남북 길이 2.2m, 동서 너비 1.2m의 방형이었다.

바닥은 약 30㎝ 정도의 진흙을 다져서 판축한 것으로 제1호 토광묘와 같은 유형으로 보인다. 다만, 냇돌 중에서 일부 납작한 돌을 썼다는 점에서 제1호 적석토광묘와는 그 측면구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매장시설과 연관지을 수 있는 부장품은 발견되지 않았다.

제3호 적석토광묘는 동북에서 서남으로 장축이 축조된 것으로 묘곽의 크기는 장축의 길이 2.2m, 너비 1.35m였다. 유물은 산화된 철기편이 몇 점 확인되었을 뿐이다.

제4호 적석토광묘는 강을 향해 경사진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던 까닭으로 후대의 농경에 의해 적석의 상당부분이 제거되어 현재 남아 있는 적석의 형태로는 토광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

토광은 장축을 남북으로 한 길이 2.6m, 너비 1.6m의 비교적 넓었다. 그러나 앞의 토광묘와는 달리, 진흙으로 판축한 묘곽 바닥이 만들어져 있지 않았다. 또한 적석토광묘의 성격을 규정지을 수 있는 부장품은 발견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중원지동리A지구유적발굴조사보고」(황용훈, 『충주댐보고서』, 경희대학교박물관,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