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틀

목차
관련 정보
조개틀
조개틀
산업
물품
갯바닥의 조개를 긁어 모으는 연장.
이칭
이칭
조개방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갯바닥의 조개를 긁어 모으는 연장.
내용

충청남도 태안 일대에서는 조개방틀이라고 한다. 지름 15cm, 길이 150㎝쯤 되는 나무토막에 15㎝ 길이의 쇠날을 빗살처럼 촘촘하게 박은 것으로 자루처럼 생긴 그물에 연결된 끈을 잡아맨다.

작은 것은 사람이나 소가 끌며, 큰 것은 바다로 나가서 배로 끌어서 조개류를 거둔다. 요즈음은 싸리로 삼태기를 엮듯이 굵은 철사로 만든 것을 쓰기도 한다.

경상남도 남해 연안 10∼40m의 깊이에서 피조개를 거두는 네모꼴의 조개틀은 아래 쪽에 37개의 발을 달았다. 배 한척에는 이물에 가로질러 고정시킨 참나무 방틀 양쪽에 한 틀씩, 그리고 이물에 한 틀 모두 세 틀을 싣는다.

충청남도 태안 일대에서 쓰는 조개방틀의 길이는 2m이고 발 길이는 18㎝이며, 바닥에서 잘 끌리도록 하기 위하여 발 끝을 칼날처럼 한쪽을 날카롭게 벼러놓았다. 발과 발의 간격은 5㎝이다. 틀에서 배에 연결되는 벼릿줄의 굵기는 1.5㎝이며 자루모양을 이룬 그물의 코는 6㎝, 길이는 4.5m이다.

한 척의 배가 조개틀 둘을 끄는 것은 두틀 배기, 네 틀을 끄는 것을 네틀배기라 하는데, 네틀배기는 10t 이상의 배라야 끌 수 있다. 한편, 김해와 부산 부근의 낙동강지류에서 다슬기와 재첩을 잡는 발이 달리지 않은 틀(감수기라고도 한다)도 조개틀의 한가지이다.

참고문헌

『한국수산지』1(농상공부수산국, 1908)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23-어업용구편-』(문화재관리국, 199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