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대전습유 ()

주자대전습유
주자대전습유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박세채가 『주자대전』 및 『속대전』 등에서 빠진 주희의 글을 보충하여 1672년에 편찬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박세채가 『주자대전』 및 『속대전』 등에서 빠진 주희의 글을 보충하여 1672년에 편찬한 유학서.
편찬/발간 경위

선조 때부터 현종 때에 이르기까지 『주자대전』·『속대전』·『별대전』 등이 간행되어 세상에 널리 전해졌지만, 주희의 글 모두가 수록된 책들은 아니었다. 박세채는 『주자어류』·『한묵대전(翰墨大全)』·『사문유취(事文類聚)』·『송백가시(宋百家詩)』·『학림옥로(鶴林玉露)』·『남헌집(南軒集)』·『상산연보(象山年譜)』·『강목범례(綱目凡例)』·『가례부주(家禮附註)』·『가례집성(家禮集成)』·『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고문진보』·『의례통해속(儀禮通解續)』·『가례회통』 등에서 주희의 글만 뽑아 1672년(현종 13)에 편집하였다. 홍문관인(弘文館印)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간행되지는 않은 듯하다. 권말에 편자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6권 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은 관란사(觀瀾詞)·매화부(梅花賦)·희제운황포(戱題篔簧鋪)·풍호무우(風乎舞雩)·제오수창선(題吳壽昌扇)·산다화(山茶花), 권2는 거지록(擧知錄)·조사복장(趙師虙狀)·여연평선생문목(與延平先生問目)·여장경부(與張敬夫)·여육자정(與陸子靜)·답호백량(答胡伯量)·답황상백(答黃商伯)·답주순필(答周舜弼)·답양지지(答楊至之)·여정윤부(與程允夫)·여조기도(與趙幾道)·여유자복(與劉子復) 등 3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동몽수지(童蒙須知)·의복관구제일(衣服冠屨第一)·언어보추제이(言語步趨第二)·쇄소연결제삼(灑掃涓潔第三)·독서사문자제사(讀書寫文字第四)·잡세사의제오(雜細事宜第五) 등 5개 항목과 참동계선(參同契鮮) 상·중·하가 수록되어 있다.

권4는 참동계 중편 9개 항과 하편 7개 항, 『주자어류』에서 뽑은 대학도(大學圖), 권학문(勸學文)·문묘석전의(文廟釋奠儀)·의례소의(儀禮疏義)·종법조목(宗法條目)·서춘추후(書春秋後)·남헌소찬무후전(南軒所撰武侯傳)·장서각동영(藏書閣東楹)·미공화(米公畵)·희홍당법서(戱鴻堂法書)·이참중묘명(李參仲墓銘)·안효시추세방(安曉示追稅榜)·효시보시방(曉示補試榜)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5는 천(天)·귀신(鬼神)·명성(命性)·심(心)·정(情)·도(道)·인(仁)·소학(小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6은 잡저 등으로 엮어졌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주희의 저술이 여러 번 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취급되었던 부분을 완벽할 정도로 망라했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